올해 추석은 30도가 넘는 더위에 태풍도 멀리 비껴가 버린 마른 한가위였다. 저녁 바다 위로 떠오른 슈퍼문을 보러 바닷가로 가봤더니, 명절 인파가 북적이는 달밤의 해변은 가을 정취로 가득하고 작은 소나무 숲은 보름달의 고요한 빛을 품고 있었다.
다음날 부모님 산소에 갔다 오기 위해 아침에 서둘러 나섰다. 대구 팔공산 줄기를 찾아가는 먼 길은 딸과 아들이 번갈아 운전대를 잡고 나는 아내와 함께 뒷자리에 평안하게 앉아 창밖을 보며 가을이 오고 있는 풍경을 즐기고 있는데, 뭔가 이상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붉은색, 아니 갈색의 단풍(?)이 든 소나무가 많이 보였기 때문이다. 산소를 오르는 길목의 산에는 한 자락 기슭 모두 초록색이 아니었고 산꼭대기까지 단풍이 들어있었다. 아름다운 단풍은 아니다. 근래 번지고 있는 소나무 재선충(材線蟲)에 의해 누렇게 말라버린 탓이다.
재선충은 1988년 부산 금정산에서 발견된 이후 그 피해가 늘어나며 한동안 주춤했다가 2년 전부터 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142개 지자체에서 860만 그루가 피해를 입고 있는데 지난 2년간 90만 그루가 또 갈색으로 변해버렸다고 한다. 이러한 사태가 계속된다면 70년대 이후 치산녹화 10년 계획으로 산림녹화 운동을 벌여 유엔식량농업기구가 산림 증가율 1위로 선정했던 삼천리 금수강산의 소나무가 절멸되지 않을까 걱정이다.
이 소나무 병은 1㎜ 크기의 선충이 매개체인 솔수염하늘소에 의해 소나무 잣나무 곰솔 등에 옮겨지고 그 중심부의 수관(水管)을 막아 단시간에 고사시키는 시들음병인데, 일본 중국 타이완 및 스페인과 포르투갈에서도 피해가 늘고 있으며, 중국은 모두 베어내고 일본은 홋카이도를 제외한 곳에서 소나무가 사라졌다고 한다. 경북은 경주와 영덕에 피해가 큰 반면 영양과 울진은 현재 미발생지역이라니 다행이다. 포항과 동해안은 지난해 60여만 그루에 발생하여 전국에서 가장 피해가 심한 곳이다. 불국사 주변에도 번지고 있어 걱정이고 감포 도로변의 폐목 등이 쓰러져 민가에 피해를 주고 있으며 해안이 이암토질의 경우 산사태도 우려되는 만큼 산림청에서는 피해 등급을 1~5단계로 하여 소나무재선충병 발생위험예보를 하고 있다.
2005년에 제정된 소나무방제특별법에 따라 병든 나무는 벌목, 파쇄, 소각, 열처리, 훈증 등으로 우리 민족의 정신적 텃밭인 푸른 소나무숲이 사라지지않도록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재선충 방제는 베어내는 벌목이 최선이겠지만 잘못 건드리면 확산의 우려가 있으므로 솔수염하늘소가 성충이 되기 전 10월에서 이듬해 3월 사이에 벌목하는데 예산 부족 등으로 모든 소나무 방제는 불가하다고 본다. 또 벌목한 후에도 이동을 단속하고 베어진 나무는 녹색 비닐로 덮어 훈증을 하게 되는데 ‘나무의 무덤’이다. 약으로 나무에 주사하기도 하고 다른 곤충의 천적을 이용하기도 한다.
송림이 사라지면 송이버섯도 자취를 감추게 될까? 산소에 술 따르고 가족 오붓이 묘원을 내려오는 길 주위에 붉게 타버린 소나무들이 마음을 어지럽힌다. 푸른 소나무 숲과 함께 울긋불긋 단풍으로 물든 가을을 걷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