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4%가 재활용 안되고 최우수는 1,1%에 그쳐<br/>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임이자 의원 지적
추석 명절 이후 쓰레기 발생량이 크게 늘고 있는 가운데 선물 등에 활용되는 포장재 중 절반 가까이가 ‘재활용 어려움’으로 평가되고 있어 생산기업들의 각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임이자 의원(상주·문경)이 지난 18일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포장재 재질·구조 등급 평가 통계’ 자료에 따르면 이달 6일까지 평가결과서를 발급받은 포장재 4314건 중 2089건(48.4%)이 가장 낮은 등급인 ‘재활용 어려움’ 평가를 받았다.
최우수는 47건(1.1%)에 그쳤고 우수 933건(21.6%), 보통 1245건(28.9%)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2019년부터 ‘포장재 재활용 용이성 등급 평가 기준’을 도입해 포장재 재활용이 얼마나 용이한지에 따라 최우수·우수·보통·어려움 등 4개 기준으로 나누고 있다.
‘어려움’ 등급의 포장재는 등급을 겉면에 표기해야 하며, 생산자 등은 재활용 분담금 비용을 20% 더 내야 한다.
올해 평가받은 포장재 종류별 등급을 보면 음료에 주로 사용되는 종이팩과 페트병 등은 대부분 낙제점을 받았다.
페트병은 748건 중 635건(84.9%)이 ‘재활용 어려움’ 등급을 받았고, 종이팩은 26건 중 21건(80.8%)이 해당됐다. 유리병 역시 400건 중 272건(68%)으로 이들은 최근 5년간 낙제점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주로 농·수·축산물 및 전자제품 포장지로 쓰이는 ‘일반 발포합성수지 단일·복합재질’은 138건 중 21건(15.2%)이 재활용 어려움 등급이었다.
식품류 및 화장품, 생활용품 포장재로 쓰이는 ‘합성수지 용기․ 트레이류’는 1699건 중 837건(49.3%)이 재활용 어려움 등급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이자 의원은 “추석 등 명절에 많이 사용되는 포장재의 재활용이 어려운 만큼 생산기업은 적극적으로 재활용 대책을 강구하고, 정부는 소비자들이 친환경 활동에 자발적으로 동참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곽인규기자 ikkwack@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