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사는 청도의 이번 여름철 강우량은 예년과 비교해 적은 듯하다. 비는 잦게 내렸으나, 전체적인 강우량은 상당히 부족해 8월에는 마당의 잔디와 텃밭에 이틀에 한 번꼴로 물을 줘야 했으니 말이다. 그래선지 기이한 현상이 일어난다. 8월 초에 얼굴 내밀어야 할 상사화(相思花)가 8월 하순이 되도록 감감무소식이다. 이 무슨 해괴한 노릇인가?!
해마다 초봄이면 진초록 이파리 내보내고, 8월 초가 되면 어김없이 화사한 연분홍색 꽃을 피워냈던 상사화다. 그것도 무려 10년을 한 차례도 거르지 않고서. 더욱이 진초록 이파리가 그 세(勢)를 불려 올해는 여느 해보다 풍성한 상사화를 보리라 남모르게 고대하고 있던 터에 얼굴마저 내밀지 않는 꽃을 기다리는 아쉬운 마음만 깊어가는 것이다.
그러다 홀연 하나의 생각이 찾아들었다. ‘필시 수분부족에서 기인한 게 아닐까?!’ 그래서 8월의 전반적인 강우 상황을 돌이켜보다가 무릎을 친다. 그렇다. 비가 적으니 토양 속으로 스며들 수분의 총량이 줄어든 것이고, 꽃을 피워 올릴만한 내적인 동력이 고갈된 것이다. 그날부터 나는 상사화 이파리 나온 곳을 찾아서 듬뿍 물을 주기 시작한다.
그렇게 1주일 정도 지난 어느 날 20mm 가까운 단비가 우리 동네를 찾아왔다.‘이번 비가 필경 개화를 촉진할지도 모르겠구나’ 하고 혼잣말한다. 나의 예상은 적중했다. 비록 단 두 줄기였지만, 상사화 꽃대가 곧게 올라오더니 시원스레 하늘로 몸을 여는 것이다. 아니, 이렇게 반가울 데가 있나, 하고 부지런히 사진을 찍어 아는 이들에게 전송한다.
그와 함께 짧은 글을 지어 블로그에 올리고, 동창회 밴드나 카톡에도 부지런 떨면서 늦었지만 반가운 상사화의 개화를 알리는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그런데 사진을 받았거나, 블로그에 실린 글을 읽은 사람들의 반응은 정말 천만뜻밖이었다. 뭐, 그만 일로 수선을 떨 필요가 있느냐, 하는 식의 시큰둥한 표정이 역력했기 때문이다.
십여 년 전 소주(蘇州) 한산사(寒山寺)에서 만났던 당나라 시인 장계의 ‘풍교야박(楓橋夜泊)’에 감동하여 수많은 사람에게 카톡으로 알렸던 상황이 반복된 셈이다. 기막힌 한시(漢詩)를 보내줘서 정말 고맙네, 잘 읽었어, 하고 답장 보낸 사람은 단 하나도 없었다. 아니, 어떻게 이런 일이 있을 수 있을까, 오래도록 혼잣말한 것이 지금도 기억에 생생하다.
이번에도 같은 상황이 벌어진 게다. 뭐, 대수롭지도 않은 걸 가지고 호들갑인가?! 나이값도 못하고서, 쯧쯧…. 사정이 이럴진대, 나름의 결론에 도달한다. 그래, 십인십색 각양각색 아닌가. 각자도생의 시간대라니, 각자 제멋에 겨워 사는 것이리. 해와 달도, 별과 우주도 나를 중심으로 돌아간다고 믿고 사는 사람들이 주인인 세상에서 특별한 일도 아닌 게다.
세상을 이해하는 방법은 나 아닌 사람은 다 이상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누구도 나와 같은 느낌, 생각, 취향, 기획, 판단 같은 걸 공유하지 않는다. 모두 이상한 사람들이야, 생각하면 서운하지도 화가 나지도 않을 터. 억제키 어려운 분노를 조절할 때 활용해보시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