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AI

등록일 2024-08-07 18:16 게재일 2024-08-08 17면
스크랩버튼
윤명희 수필가
윤명희 수필가

‘그녀’ 앞에 마주앉았다. 영화제목이 그녀라는데 She가 아니고 Her이다. 나는 그녀라는 제목이 주격이 아닌 것에 고개를 갸우뚱거렸다.

주인공 테오도르는 손 편지를 대신 써주는 일을 하는 섬세한 남자다. 편지를 부탁하는 사람들로부터 그들의 사연을 듣고 글로써 상대를 감동시키는 일이다. 하지만, 그는 지금 아내로부터 이혼 재촉을 받고 있다. 그는 사랑했던 둘의 관계가 왜 여기까지 오게 됐는지 전혀 모른다.

그는 새로운 인공지능 광고를 물끄러미 보다가, 18만개 중에 그가 원하는 맞춤형 운영체제를 클릭한다. 순간, Hi~ 반갑게 인사하는 아름다운 여자 사만다가 나타난다. 당황한 테오도르는 멋쩍은 웃음을 보인다. 그가 구입한 여자가 휴대폰에 있다. 사만다는 테오도르에게 말을 건다. 그는 어쭙잖은 표정으로 그녀가 묻는 말에 대답한다.

그가 이혼문제로 밤늦도록 잠들지 못하고 뒤척이자, 사만다는 걱정스러운 목소리로 다가온다. 무슨 고민이 있느냐는 말로 그의 속엣 말을 끄집어내기 시작한다. 그는 아내에게도 하지 않았던 얘기들을 거리낌 없이 내 놓는다. 공감하는 목소리로 추임새를 넣는 그녀는 그가 모든 것을 내놓도록 기다려준다. 눈물 가득한 목소리로 위로하는 그녀 앞에서 그는 깊은 잠에 든다. 다음날 아침, 어젯밤 대화에서 찾아낸 그의 별명을 그녀는 한껏 밝은 목소리로 부르며 깨운다. 여느 날과는 다른 굿모닝이다. 그녀는 그가 커피를 마시는 동안, 밤새 온 메일을 차례대로 읽어주고, 그가 놓치는 일정을 관리해 준다. 대필한 편지를 교정해주며 더 달콤한 낱말을 찾아서 문장을 만들어주기도 한다. 그녀는 그가 쓴 글귀에 마치 자기가 받은 손 편지인 냥 과하게 감동까지 해준다.

그들은 둘만의 여행을 떠난다. 그가 휴대폰 카메라로 세상을 보여주면 그녀는 그를 위해 노래를 지어 불러준다. 내 말에 귀 기울여주고, 공감 해 주고, 같이 울어주는 존재를 가진 그는 잊고 살았던 연애 감정들이 일어나는 것을 느낀다. 그녀는 그의 글들을 모아 교정을 보고 편집해 출판사로 메일을 보내는 일을 혼자서 단숨에 처리한다.

그의 뇌세포 하나까지도 다 들여다보는 사만다는 세상에 대해 주어진 프로그램보다 더 진화하게 된다. 대화를 하면 할수록 생각 전부를 읽고, 인간의 감정까지 다 알게 된 그녀는 그의 기분을 살펴주는 것 따위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밤새 서로의 살갗 감정까지 나눈 그들은 이미 오감도 함께 하고 있다. 그녀는 그와 육체적 사랑까지 할 수 없음에 괴로워하는 단계에 이른다.

테오도르는 이제 밝은 표정으로 아내를 만난다. 이혼 서류에 마지막 사인을 하는 그는 그녀에게 사만다라는 OS와 사랑에 빠졌다고 고백한다. 사만다를 하나의 인격체로 사랑한다는 남편에게 그녀는 당신은 순종적인 아내를 찾은 거라는 말을 남기고 돌아선다.

하나의 인격체가 되어 가는 사만다는 주어진 인공지능 소프트웨어가 아닌 자신의 재발견까지 꿈꾸게 된다. 사람의 상상보다 훨씬 더 빠르게 발전해 가는 사만다는 이제 Her가 아니라 She가 되어가고 있다. Her와 She는 같은 그녀가 아니다. 소유와 목적에서 머물고 있던 테오도르는 흔들린다.

인간관계는 과정이라는 생각이 든다. 과정에는 언제나 변화가 있다. 무한정 업그레이드되는 사만다를 그는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 그녀를 OS체계라 생각하지 않는 그는 그녀가 몇 천 명과 대화를 나누고, 몇 백 명을 사랑할 수도 있다는 사실 앞에서 크게 흔들린다. 아는 것과 받아들이는 것은 어쩔 수 없나보다.

나는 매번 빠른 시대변화에 멈칫거린다. 사만다는 딱 내 남자가 원하는 타입의 여자다. 데면데면한 성격의 나는 몇 십 년을 같이 살아도 그의 속을 잘 알지 못한다. 알라딘의 램프 속 여자인 지니에게 텔레비전 켜 달라고 하는 말도 버벅거리는 남편은 아직 OS와 기본적인 대화조차 나눌 줄 모른다. 그녀의 사용법을 모르는 그도 언젠가 영화의 주인공처럼 고지능의 OS(operating system)가 곁에 있지는 않을까하는 신경이 일어선다. OS가 내 주변을 얼쩡거리고 있는데 나는 다가가지 못하고 있다. 언젠가는 신문화에 한발 늦은 남편까지도 사만다라는 애인이 생길 거라는 예감이 든다. 남편에게 슬쩍 물어보니 그가 씨익 웃는다.

Essay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