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쏠림 등 시장 재편 관측도
티몬과 위메프의 대규모 판매대금 정산 지연 사태를 바라보는 국내 전자상거래 업계의 심정은 편치 않다.
2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번 사태에는 티몬·위메프의 허약한 재무 건전성이 자리 잡고 있다. 2022년 기준 티몬의 자본총계는 -6386억원이다. 결손금은 1조2644억원에 달한다. 결손금은 영업 활동에서 발생한 누적 손실액을 말한다. 지난해 위메프 자본총계는 -2398억원, 결손금은 7560억원이었다. 위메프는 2019년 5287%의 부채비율을 기록한 뒤 2020년부터 줄곧 자본잠식 상태에 있다. 티몬의 부채비율도 2019년 이래 120% 안팎을 보이고 있다. 외부 감사인은 나란히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 능력이 불확실하다’는 감사 의견을 냈다.
위메프는 판촉할인율 오류를 이유로 이달 8일 정산일에 400개 안팎의 판매자에 대한 대금 지급을 일시 중단했다. 당시 위메프는 정산금 지급 이력이 충분했으며, 판매자들에게 오류를 바로잡는 대로 정산을 재개하겠다고 공지했다.
문제는 티몬에서 터졌다. 위메프 정산 일시 중단에 불안을 느낀 티몬 입점자들이 티몬에서 대거 이탈해 순식간에 자금 경색이 온 것이다. 재무 구조가 위메프보다 훨씬 약한 티몬은 그동안 ‘판매대금 돌려먹기’로 간신히 정산일을 맞춰왔으나, 중대형 판매자가 이탈해 더이상 정산일을 맞출 수 없는 상황이 됐다. 위메프의 정산 지연 사실이 알려진 지난 11일부터 티몬이 정산 지연을 공지한 지난 22일까지 걸린 기간은 보름이 채 안된다. 이 짧은 기간에 월평균 거래액(올해 상반기 기준)이 6000억원대(티몬), 3000억원대(위메프)인 거대 종합 이커머스 플랫폼이 무너져 내린 것이다.
경쟁사들도 재무 건전성 문제를 안고 있어 이번 사태를 강 건너 불보듯 할 수 없는 상황이다. 11번가, 컬리 등은 최근 수년간 매년 100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고 신세계그룹 계열사인 G마켓도 2022~2023년 누적 1000억원에 가까운 영업손실을 냈다. 지난해 처음 연간 1000억원대 영업이익 흑자를 낸 쿠팡도 그동안 매년 적자를 낸 여파로 지난해 순운전자본이 -1조4942억원에 이른다. 업체들은 외형 키우기를 접고 비용 절감을 통한 내실 다지기로 방향을 틀었지만 가시적 효과는 나타나고 있지 않다. 업계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가 이커머스 시장 재편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판매자와 고객이 좀 더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는 네이버와 쿠팡같은 대형 이커머스업체나 상대적으로 거래 안전성이 담보된 롯데와 신세계 등 국내 대기업 계열 이커머스로의 쏠림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
이커머스업계 한 관계자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이커머스 시장에서 플랫폼과 판매자 및 소비자 간 거래 관계에서의 ‘신뢰’가 최우선 가치로 떠올랐다”고 밝혔다. /김채은수습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