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전입 영향 보고서 발표
지역에 첨단산업 일자리와 정주 환경이 함께 갖춰져야 청년층의 지역 전입 효과가 극대화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이하 상의)는 전국 17개 광역시·도를 대상으로 2006∼2021년 15년간 20∼39세 청년층의 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분석한 결과가 담긴 보고서를 31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역 총사업체 중 첨단기업 비중은 서울·경기·인천 수도권의 경우 2006년 평균 12.7%에서 2021년 23.8%로 늘었다. 반면 같은 기간 비수도권은 9.0%에서 16.1%로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 결과를 토대로 수도권의 첨단기업 집중 현상은 청년 수도권 집중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상의는 분석했다.
비수도권에서 타 지역으로 전출하는 인구 중 청년층 비중은 2019년도 50%를 웃돌아 증가하면서 2023에는 51.8%를 기록했다.
전출 청년 중 수도권으로 전입한 비중도 2015년 43.9% 대비 3.1%포인트 증가한 2023년 47.0%로 꾸준히 증가했다.
인구 전출입 추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정주 조건에 대해 계량 분석한 결과 청년층 인구의 지역 유입에 첨단기업은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다. 지역 내 총사업체 중 첨단기업 비중이 1%포인트 늘면 지역 내 전입인구 중 청년층 비중은 0.43%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교통 편리성 및 문화시설 등을 전국 평균 이상을 갖출 시, 지역 첨단기업 비중이 1%포인트 증가하면 청년층의 지역 전입 비중은 추가 0.15%포인트 상승했다.
이에 상의는 문화적 욕구와 교통 접근성을 만족시키는 양질의 정주환경과 안정적 소득을 제공하는 좋은 일자리를 갖춰야지만 청년들의 비수도권 거주를 촉진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채은수습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