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부 ‘기업 상생라운지’ 개최<br/>사용후 배터리·희소 금속 분야<br/>수요-공급사 1:1상담회 첫 도입<br/>구체적 신사업 모델 발굴 주력<br/>
순환경제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을 강화하고, 상생협력을 통한 신사업 발굴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순환경제는 제품의 전 과정에서 자원효율을 극대화하는 친환경 경제로서, 폐기물 감소 외에 원료부터 완제품 생산에 이르는 제품의 공급망 측면에서도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배터리·금속 분야는 전 세계적인 전기차 보급 확대 및 희소금속 확보 경쟁 심화에 따라 순환경제 발전이 가장 시급한 분야로 평가된다.
2021년 개최해 올해 네 번째를 맞는 이 행사는 최근 유럽연합(EU) 배터리규제, 디지털제품여권 등에 따라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사용후 배터리 순환경제 및 희소금속 재자원화’를 주제로 마련됐으며, 현대제철(주), 아주스틸(주) 등 총 55개 기업이 참가했다.
이번 행사는 △비즈니스 파트너링(Partnering) △비즈니스 모델 발표·전시 등 두 가지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비즈니스 파트너링은 공급기업과 수요기업을 연계해 협력 사업을 발굴하기 위한 상담회로, 금년에 1:1 상담회를 처음으로 도입해 기업 간 구체적인 비즈니스 모델 발굴에 주력했다.
비즈니스 모델 발표·전시는 공급기업 중 10개 기업을 선정해 해당 기업의 순환경제 기술·제품을 수요기업에게 홍보하는 프로그램이다.
산업부 이승렬 산업정책실장은 “이번 행사는 국가 주력 산업인 배터리·금속 분야에서 수요·공급기업들이 한데 모여 신사업을 발굴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며 “주력산업과 연결된 순환경제 부분에서도 기업들이 글로벌 트렌드를 주도해나갈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하겠다” 고 밝혔다.
/이부용기자
lby123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