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권레이스 최대 쟁점은 윤석열 대통령과의 관계 설정이다. 후보가 용산 대통령실과의 관계를 어떤 방향으로 정립하느냐에 따라 당원투표의 향방이 결정될 가능성이 큰 탓이다. 당정관계를 둘러싼 계파 간 대립 양상은 초반부터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한 전 위원장은 “당정 관계를 수평적으로 재정립하고 실용적으로 쇄신하겠다”고 했다. 윤심보다 민심을 선택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이다. 나 의원은 ‘당정동행’을 강조했다. 판단의 절대 기준은 오직 민심이고, 국민이 옳다고 하는 대로 함께 가겠다고 했다. 원 전 장관은 “저는 대통령과 신뢰가 있다. ‘레드팀’을 만들어 당심과 민심을 가감 없이 전달하겠다”고 했다. 윤 의원은 SNS를 통해 “대통령과 당이 갈등하면 안 된다”고 했다.
4·10 총선이 끝난 지 석달째에 접어들었지만, 국민의힘은 여전히 무기력증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 끝없는 ‘국회 보이콧’이 국민을 피로하게 한다. 당원수가 가장 많은 TK정치권에서 후보가 나오지 않아 아쉽긴 하지만, 여당은 이번 전당대회를 통해 당 체질을 개선하고 올바른 당정관계도 설정해야 한다. 그러려면 후보들은 ‘윤심’이 아닌 당의 쇄신과 비전을 놓고 경쟁해야 한다. 특히 중요한 것은 192석의 국회의석을 가진 거대 야당의 입법폭주에 대한 대응책과 협치 전략을 후보마다 구체적으로 밝히고 당심과 민심의 심판을 받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