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17일부터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에 들어가고 일부 종합병원 교수들이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을 예고하는 상황이라 의료계의 긴장감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정부 눈치를 봐왔던 대구지역 의대 교수들도 18일 갑자기 휴진동참을 결정해 지역 의료계도 비상이다. 대학병원들은 교수들의 휴진 선언에도 정상진료는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나 진료상황은 지켜보아야 한다.
의대 증원을 둘러싼 의정갈등이 4개월째 이어지고 있으나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18일 전면 휴진을 선언한 의협은 의대 정원 재논의 등 3가지 항목의 대정부 요구안을 공개했으나 정부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대화의 길이 열리지 않고 있다.
특히 의정갈등이 장기화되면서 환자들의 불안과 불만이 커지는 상황이다. 의사협회의 휴진 선언에 전국 90여 개 환자단체들이 철회를 요구하는 성명을 냈으며 한국자유총연맹 등 각 사회단체도 의사들의 집단행동을 비판하고 나섰다.
의사들은 응급실, 중환자실, 중증·희귀질환 등은 진료를 이어가겠다고 밝히고 있지만 이것으로 환자들의 불안한 마음을 잠재울 수 없다. 중증이 아니더라도 환자가 제때 진료를 받지 못하면 상태가 악화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각종 온라인망을 통해 집단휴진에 참여하는 동네병원을 불매하자는 시민운동이 나온 것은 의대 증원에 대응하는 의사단체의 행동이 국민의 지지를 받지 못한다는 반증이다.
뇌전증지원병원협의체 등 일부 의료단체들도 의협의 집단휴진에 불참하기로 한 것은 의대증원에 대한 의료계의 반발이 집단행동만으로 해결할 수 없음을 뜻하기도 한다. 의사들의 진료는 국민의 안전 및 생명을 지키는 일과 바로 직결된 때문이다. 한덕수 총리는 의협의 휴진으로 수십년 쌓아온 의료계와 환자 사이의 신뢰가 무너져선 안 된다고 말했다. 갈등은 힘으로 해결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의협은 지금이라도 대화 길로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