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대구시장은 추진단을 꾸리면서 통합과정에 소외감을 가지는 기초자치단체가 없도록 균형발전정책을 최우선 고려할 것을 주문했다. 홍 시장은 최근 열린 산하기관장 회의에서도 “경북 북부지역이 소외되지 않도록 산하·기관단체들을 안동으로 이전시키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홍 시장이 구상하는 통합 방안은 ‘대구경북특별시’라는 개념의 집행기관에 경북도를 통합하고 안동에 북부청사, 포항에 남부청사를 둬 각각 부시장이 관할 구역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현재 경북도청이 위치한 안동·예천 등 경북 북부지역 주민들이 상실감을 느낄 수 있는 구상이다. 지난 10일 열린 경북도의회 본회의에서도 ‘행정통합 논의가 경북도 민의를 대변하는 도의회의 의견을 배제한 채 진행되고 있다’는 비판이 나왔었다.
대구·경북 행정통합은 ‘지방소멸을 막기 위한 몸부림’이다. 이 지역 청년들이 지금처럼 계속 수도권으로 빠져나가면 곧 손쓸 수 없는 상황까지 갈 수 있다. 이웃사촌인 자치단체끼리 서로 경쟁하면서 각자도생할 경우 인구소멸을 막기 위한 해법을 찾기는 불가능하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합쳐지면 인구 500만의 비수도권 최대도시가 된다. 면적도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가장 넓어진다. 대구·경북이 행정통합에 성공해서 미국 연방정부 같은 자치권을 가질 경우, 중앙정부 도움 없이도 생존해 나가는 길을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