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행정통합 추진단 가동… ‘새로운 길 찾는 TK ’

등록일 2024-06-12 18:54 게재일 2024-06-13 19면
스크랩버튼
TK행정통합에 속도를 내고 있는 대구시가 체계적인 업무추진을 위해 ‘대구경북행정통합추진단’을 신설했다. 추진단은 1국 2과 편제로 시작하며, 통합자치단체가 출범할 2026년 7월까지 가동된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2년 전(2022년) 통합 논의 때도 ‘대구경북행정통합 합동추진단’을 꾸린 것을 감안하면, 경북도도 곧 추진단을 신설할 것으로 보인다. 추진단은 기업투자유치와 지역개발의 자율성 확보를 위한 이양사무의 발굴, 국회·정부·시의회 등과의 협의, 대구·경북 산하기관 통폐합 및 이전 정책, 대구경북 통합지자체의 균형발전 종합계획 수립 업무를 담당한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추진단을 꾸리면서 통합과정에 소외감을 가지는 기초자치단체가 없도록 균형발전정책을 최우선 고려할 것을 주문했다. 홍 시장은 최근 열린 산하기관장 회의에서도 “경북 북부지역이 소외되지 않도록 산하·기관단체들을 안동으로 이전시키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홍 시장이 구상하는 통합 방안은 ‘대구경북특별시’라는 개념의 집행기관에 경북도를 통합하고 안동에 북부청사, 포항에 남부청사를 둬 각각 부시장이 관할 구역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현재 경북도청이 위치한 안동·예천 등 경북 북부지역 주민들이 상실감을 느낄 수 있는 구상이다. 지난 10일 열린 경북도의회 본회의에서도 ‘행정통합 논의가 경북도 민의를 대변하는 도의회의 의견을 배제한 채 진행되고 있다’는 비판이 나왔었다.

대구·경북 행정통합은 ‘지방소멸을 막기 위한 몸부림’이다. 이 지역 청년들이 지금처럼 계속 수도권으로 빠져나가면 곧 손쓸 수 없는 상황까지 갈 수 있다. 이웃사촌인 자치단체끼리 서로 경쟁하면서 각자도생할 경우 인구소멸을 막기 위한 해법을 찾기는 불가능하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합쳐지면 인구 500만의 비수도권 최대도시가 된다. 면적도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가장 넓어진다. 대구·경북이 행정통합에 성공해서 미국 연방정부 같은 자치권을 가질 경우, 중앙정부 도움 없이도 생존해 나가는 길을 찾을 수 있다.

김진국의 ‘정치 풍향계’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