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지난 10일 경북 상주에서 대구시와 안동, 예천, 의성, 상주, 문경 등 낙동강 수계 9개 지자체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를 열고 안동댐 직·하류 물을 끌어다 대구시민의 식수로 공급하는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에 대한 의견을 수렴했다. 환경부는 이날 대구시가 낙동강 상류 안동댐 물을 끌어다 쓰는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으로 취수할 수 있는 하루 평균 적절 수량을 46만t으로 제시했다. 이는 대구시가 제시한 하루 63만t보다 17만t이 적은 양이다.
환경부는 부족한 취수량은 대구시의 자구 노력과 강변여과수 개발로 채워야 한다는 대안도 제시해 대구시가 추진하는 안동댐 물을 상수원으로 하는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을 사실상 수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환경부의 대안 제시에 대해 대구시도 “대구시민에게 실질적 필요한 물은 하루 56만t인데 부족한 10만t은 자체 상수원을 가동하는 방안으로 해결하겠다”고 밝혀 대구 취수원 다변화 사업에 속도가 붙을지 주목된다. 대구시 취수원 다변화사업은 낙동강 페놀사건 후 수십년 논란만 벌였지 해결책을 찾지 못했다. 낙동강 상류인 구미 해평을 취수원으로 하려던 계획이 무산되고 안동댐을 취수원으로 대구시가 다시 추진하고 있다. 대구시와 안동시가 상생발전 명분으로 안동댐 물을 대구시민 취수원으로 사용하는 데 합의는 했으나 낙동강 수계 지자체들의 반발 등도 적지 않은 문제다.
대구시가 안동댐 직하류에서 문산·매곡 정수장까지 110km를 연결하는데 드는 비용을 1조8000억원 추정했으나 이날 환경부는 2조원 이상 소요될 것으로 보아 재원 조달도 넘어야 할 산이다. 그 외도 안동시와의 협력사업 등 취수원 확보를 위해 넘어야 할 산은 많다. 그러나 정부 차원에서 대구 취수원과 관련, 공식적 입장을 구체화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어서 사업에 속도가 붙을지 관심이다. 대구시와 경북도, 환경부가 힘을 모아 이번만은 상생의 길을 반드시 찾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