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 보행자 우선도로 효과성, 정책 반영해야

등록일 2024-06-11 18:22 게재일 2024-06-12 19면
스크랩버튼
도로교통공단 발표에 의하면 대구의 교통안전지수는 전국 평균에 미달한다. 2023년 기준 전국 평균은 78.68이나 대구는 76.67이다.

전국 특·광역시 중 최하위권이다. 2022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교통사고 건수는 광주에 이어 가장 높다.

그러나 교통사고 사망자는 2015년 이후 꾸준히 줄고 있다. 2015년 158명이던 교통사고 사망자가 2023년에는 66명으로 절반 이하로 줄었다. 특히 어린이 교통사고 사망자는 2018년 이후 6년간 한 명도 없다. 이는 대구시가 2016년부터 추진한 교통사고 30% 줄이기 특별대책의 결과로 풀이된다. 전체적으로 대구는 교통사고 사망자는 줄고, 교통사고로 인한 인적·물적 피해는 여전히 많다

최근 대구시가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보행자의 통행 우선권이 보장되는 보행자 우선도로에서의 사고가 31%나 준 것으로 나타났다. 보행자 우선도로는 차도와 보도가 분리되지 않은 도로로 이곳에서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보행자 통행이 차량통행보다 우선되는 곳이다. 보행자가 도로 전부분을 보행할 수 있고, 운전자는 보행자와 안전거리를 유지하고 보행자의 통행에 방해가 될 경우 서행하거나 일시 정지해야 한다.

대구에는 모두 10군데의 보행자 우선도로가 있다. 대구시는 보행자 우선도로에 대해서는 사업비를 투입해 도로포장과 과속방지 시설, 표지판 등을 새롭게 설치해 운전자의 경각심을 높이고 있다.

교통사고 발생은 관계당국의 노력과 운전자의 안전의식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교통시설의 개보수와 교통안전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보행자 우선도로에서의 사고율 격감을 교훈 삼아 현재 추진하는 교통사고 줄이기 캠페인을 지속하고 안전한 도로를 위한 당국의 세밀한 정책도 지속 마련돼야 한다.

교통사고가 많으면 사회적 비용이 늘어 시민들 개개인의 부담도 증가할 수 밖에 없다. 보행자 우선도로에서 확인했듯이 교통사고는 노력한 만큼 효과가 나온다. 대구가 전국 최고의 교통안전도시로 거듭나게 당국의 대책과 시민들의 교통의식이 높아져야겠다.

김진국의 ‘정치 풍향계’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