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의 문학가 괴테는 식물을 유심히 관찰했다. 식물이 서로 반대인 두 방향으로 성장한다. 한쪽은 중력에 이끌려 땅 속으로 파고들며, 다른 한쪽은 반중력으로 허공으로 치뻗는다는 것을 신비롭다고 했다. 괴테라고 하면 우리는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파우스트’를 쓴 독일의 대문호로 기억한다. 그러나 그의 직업은 이보다 훨씬 더 많고 다양하다. 시인, 극작가, 소설가, 연극감독, 철학자는 물론, 자연 과학자였으며, 바이마르공국의 재상이었으니 정치가이기도 하였다.
괴테는 식물들을 세심히 관찰하고 날마다 스케치하면서 꽃과 잎과 뿌리가 변화하는 것을 발견했다. 그런 점에서 괴테는 디테일의 끝판왕인 셈이다. 그 결과 자연과학자였으며 미술가이기도 하였다. 세밀하게 식물을 스케치하여 관찰한 결과를 ‘식물변형론’으로 썼고, 이탈리아 여행에서 기행문 ‘이탈리아 여행’을 남겼을 뿐만 아니라 이탈리아의 아름다운 자연의 색을 감탄한 나머지 ‘색채론’을 집필했다. 그런데 이렇게 자연과학자로 끝나면 괴테가 아니다. 식물을 깊이 관찰한 결과를 조상과, 가정과, 아이들의 교육에까지 생각을 확장했다. 그래서 남긴 그의 명언이 있다.
‘우리가 아이에게 줄 유산은 단 두 가지뿐이다. 하나는 뿌리이고 다른 하나는 날개이다.’
뿌리는 식물의 밑동으로서 보통 땅속에 묻히거나 물체에 박혀 수분과 양분을 줄기를 지탱하는 작용을 하는 기관이다. 사물이나 현상의 근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의미로 쓰는 단어이기도 하다. 괴테와 같은 맥락으로 이해되는 ‘뿌리론’이 우리나라 문학작품에도 있었다. 조선 초기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하고 집현전 학자들에게 지시하여 창작한 한글시가인 용비어천가의 2장이다. “뿌리깊은 나무는 바람에 흔들리지 않으니 꽃 피고 열매가 많으니라.” 깊은 뿌리를 내린 나무가 바람에 흔들리지 않듯 기초가 튼튼한 나라여야 꽃 피고 열매 맺듯 안정되고 번창할 것이라는 비유의 절창이다. 영원무궁한 조선의 미래 발전을 위해서는 나무의 깊은 뿌리같이 조선의 초석이 튼튼해야 한다는 노래이다. 뿌리가 튼튼해야 줄기가 힘차고 튼실할 것이고, 꽃이 탐스럽고 향기로울 것이며, 단단하고 풍성한 열매를 맺을 것이 자명하다. 아이들에게 뿌리는 조상이자, 부모이자, 가정일 터. 그러니 조상과 부모와 가정의 역할은 튼튼한 뿌리가 되어 아이들이 스스로 힘차고 올곧게 자랄 수 있도록 해 줄 뿐이다.
그러면 날개는 무엇일까. 날개는 새나 곤충처럼 허공을 나는 동물의 양쪽에 붙어있는 기관이다. 이는 땅 속에서 땅속으로 내리뻗는 뿌리와 다르게 기댈 곳 없는 공중을 날기 위해 생긴 것이다. 또한 날개는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성장하면서 돋거나 자라는 것이니, 뿌리와 달리 스스로의 힘으로 생기는 것이다. 조상과 부모가 날개를 준다는 것은 아이가 스스로 할 수 있을 때까지 격려와 지원과 응원을 아낌없이 주면 되는 것이다. 괴테는 식물을 깊이 관찰하면서 동시에 성찰하는 교육철학자가 되었다. 역시 괴테는 괴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