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탄소배출 제로’를 달성하기 위한 포스코의 수소환원제철소 건립은 우리나라 철강기업의 생존문제와 직결되어 있다. 당장 유럽연합은 2026년부터 철강, 알루미늄 등 6대 품목에 대해 탄소국경세를 적용한다. 탄소국경세를 1톤당 100달러로 적용할 경우, 우리나라 철강기업들은 2030년에 수출대금 30% 이상을 국경세로 내야 한다. 한국무역협회의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 2022년 우리나라가 유럽연합에 수출하는 철강 수출액은 48억 유로(약 7조 원)에 이른다.
포스코는 현재 수소환원제철공장 3기를 짓기 위해 포항제철소 동쪽 앞바다 135만㎡(41만평)를 메우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1기 공장은 2033년 준공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포스코는 지난 1월 포항제철소에 수소환원제철 개발센터를 열어, 포스코 고유의 수소환원제철공법(하이렉스) 연구와 설비 구축, 시험조업 업무를 수행하면서 상용화 가능성을 검증하고 있다.
수소환원제철소가 로드맵대로 건설되려면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우선 포항지역 일부 시민단체가 “바다를 메우면 해양생태계가 오염된다”며 반대하고 있다. 비용도 큰 부담이다. 사실상 제철소를 새로 짓는 작업이어서 2030년부터 2050년까지 수십조원의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 해외 철강강국들은 정부차원에서 천문학적인 지원을 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생색내기용 지원에 그치고 있다.
포항환경연대가 제안한 ‘탄소중립·수소환원제철 포럼’이 하루빨리 결성돼 수소환원제철 프로젝트가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과제나 장애요인에 대해 해법을 제시해 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