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부턴가 불어닥친 인문학 열풍이 요즘도 상당하여 곳곳에서 다채로운 강연이 펼쳐지고 있다. 수많은 사립대학이 앞장서서 인문대학을 폐하고, 인문학 전공 교수들을 저잣거리로 내몰고 있는 상황과 현저히 모순되는 장면이 아닐 수 없다. 인문학의 뿌리이자 근본인 인문대학이 사라지는 형국이니, 인문학 열풍도 머지않아 스러질 것이 자명하다.
세계 곳곳에 이른바 ‘한류열풍’이 분다고들 입에 게거품을 물지만, 그것은 상업주의와 결탁한 부분적인 성공에 지나지 않는다. 지난 세기 90년대 중반에 몰아닥친 세계화 광풍이 신자유주의 바람을 후폭풍으로 동반한 결과가 물신-배금주의 풍조다. 물적(物的)으로 풍족하지 못한 시절에도 잊지 않았던 정신과 영적인 가치와 의미가 급속도로 퇴락의 길을 걷고 있다.
그 무렵 전국 인문대학장들이 시대를 통탄하고, 인문학의 가치를 고양해야 한다는 선언문까지 작성하여 배포하지만, 상황은 악화일로(惡化一路)를 걸어왔다. “문송합니다”라는 말이 유행하고, 전국의 철학과와 국문과가 간판을 내리는 지경까지 이른다. 그런 풍경이 요즘엔 일상사가 된 것이니, 새삼 돌이켜보면 가슴에 생채기만 깊어질 따름이다.
그런 와중에도 전국적으로 시작된 인문학 열풍은 도회와 농어촌을 가리지 않고 불어와 곳곳에 강연회가 성행한다. 나 역시 2008년부터 지금까지 멀리는 경기도 오산부터 가까이는 창녕과 부산까지 강연하러 다니고 있다. 거기서 만나는 청중은 크게 두 부류로 갈린다. 호기심으로 들른 사람들과 알고자 하는 열망으로 참가하는 사람들이 그들이다.
전자는 한두 번 강연회에 왔다가 ‘핫바지 방귀 새듯’ 사라진다. 삶과 일상에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인문학의 고담준론(高談峻論)에 아까운 시간과 정열을 낭비할 이유가 없어서다. “삶을 돌이키지 않는 인생은 살만한 가치가 없다”고 설파한 소크라테스의 2400년 전 가르침이 여전히 유효하구나, 하는 깨달음을 불러오는 사람들이 그들이다.
후자는 계 모임 하는 사람들처럼 무리 지어서 이곳저곳으로 사냥감을 찾듯 배회한다. 그들은 인문학 강연에 빠짐없이 출근한다. 그런 성실성과 근면함에 경의를 표하고 싶다. 다만, 한 가지 덧붙이고자 한다. 그것은 귀만 가지고 강연회에 오면 별로 남는 게 없다는 사실이다. 오직 듣기만 하여 그 자리와 작별하면 피와 살이 될 자양분이 남지 않기 때문이다.
만일 고전 그리스의 서사시와 비극이 강연 주제라면, ‘일리아드’와 ‘오디세이야’, 그리고 아이스킬로스와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의 비극은 미리 읽어봐야 한다는 얘기다. 강연자가 하고자 하는 이야기의 전제를 소화한 청중과 그냥 참여한 청중 사이의 거리는 측량 불가다. 특히 강연이 끝난 뒤 가슴이나 의식에 남은 기억은 현저히 다를 수밖에 없다.
낯익은 청중과 만날 때면 그들에게 조용히 말한다. “강연을 듣는 것도 좋지만, 책을 꾸준히 읽고 기록하는 습관을 갖는 것이 훨씬 쓸모가 있습니다.” 강연을 듣는 일은 쉽지만, 책을 읽는 것은 굳은 의지의 소산이다. 독서와 청강의 양립이 인문학 소양 습득의 지름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