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벚꽃이 피던 날

등록일 2024-04-10 20:34 게재일 2024-04-11 16면
스크랩버튼
배문경 수필가
배문경 수필가

‘죽산 가는 길목, 머리 없는 석불 둘이 서서 비에 젖는다. 사그막골 두 노인네 점심 끼니로 찐 감자 두어 개 천일염에 찍어 먹고 종일 오시는 비나 내다본다.’ - 장석주 시인의 ‘석불(石佛)’중

창문을 열었다. 열린 창으로 빛이 눈부시게 쏟아진다. 환한 빛 속에서 기다리는 무수한 눈동자들 사이로 “밥 두가, 밥 두가” 노인의 목소리가 아침의 고요를 깬다. 그 소리를 중심으로 여기저기서 수런수런 들리는 소리로 인해 밤의 시간은 툭툭 털고 일어선다. 세 끼 식사는 어찌 그리 빨리 다가오는지. 세 끼 식사는 얼마나 마음을 짠하게 하는지. 산다는 것은 입으로 밥풀을 넘기는 일이다.

아침과 점심시간 사이에는 종교적 위안을 주는 소리와 영상과 목회자가 있다. 따라 하는 음절 속에는 평화와 안식이 존재할 수 있다. 서성이던 사람들도 조금은 고요해지는 시간, 몰입되는 시간이 고맙다. 내일을 알 수 없다. 떠난 사람이 기억나지 않는 시간과 이후 새로울 것이 없는 내일이라는 미래. 창밖은 비가 오거나 흐리거나 눈부시거나.

이곳도 계급이 있다면 있다. 점심과 저녁 식사 사이에 간식이 주어지고 다섯 끼의 음식 사이, 식사할 때 조미 김 하나를 더 먹을 자유가 있고 자식이 사 준 과자나 과일을 혼자 먹거나 나누어 먹으며 으쓱할 자유도 있다. 대부분 자식들의 챙김이 어르신의 자존심이 되기도 한다. 다양한 유형의 보호자들이 부모를 찾는다. 음식과 필요로 하는 것을 서너 박스로 챙기는가 하면 잘 지내냐고 인사만 하러 오는 경우도 있다. 챙겨드리고 남은 음식을 자세히 적어두었다가 챙겨드리는 것은 직원들의 책임이다. 그래도 이미 자식들이 넣어준 과자며 과일은 다 먹은 뒤인데 치매로 떠오른 음식의 이미지로 사람을 몰아세운다. 남은 것은 없는데 누가 사다 준 그것을 달라는 어른이 인정할 때까지 시간이 소요된다.

저녁 식사 후 양치가 끝난 어르신들의 잠자리는 일상의 마침표이지만 덜 끝낸, 그래서 또 하나의 시간이 시작되는 밤이다. 소리란 고요할 때 더 크게 들리니까. 낮과 밤이 구분이 되지 않는 몸과 정신으로 서성이는 어른들, 쉴 새 없이 오라고 알리는 벨 소리, 어둠과 함께 여러 형태로 만들어지는 밤의 전경들로 한밤의 고요는 없다. 때론 토닥토닥 어릴 적 어머니가 불러주시던 자장가로 재워드리며 당직자의 밤이 하얗게 물든다. 대, 소변과 밤새 주무시지 않고 소리를 지르거나 시끄럽다고 룸메이트를 겨냥한 욕설과 집에 가겠다고 배회한 사람들에 대한 이모저모가 타닥타닥 자판 속에서 잠자다 일어나 하품을 한다.

노년의 무게가 큰 바위 같다. 언제 건너온 강 건너의 시간일까. 찬란한 시간이 모이고 모였던가. 그래서 人生(인생)이란 집 한 채를 지우고 자식을 그리워하다 지치고 지쳐야 이곳에 정착한다.

이곳에서 자식은 만나고 싶을 때마다 만날 수는 없다. 서로가 너무 큰 기대를 하고 있기에. 오직 자식을 건사하고 먹이고 보살폈던 몸은 겨울나무처럼 메말라 거칠고 작아졌다. 몸피가 작아 바람이 불면 날아갈 것 같다. 삶의 무늬는 어떤 것일까. 날실과 씨실의 시간이 교차하며 만든 곱고 아름다운 시간의 흔적은 숙연해지는 빛깔을 만드는 조각과 조각 사이.

초록의 싹이 돋아나더니 벚꽃이 영글기 시작했다. 바람이 쏴아 파도치듯 지나가면 겨울 비킨 자리로 꽃의 계절이 눈부시게 카펫처럼 펼쳐진다. 벚꽃이 눈부시게 펼쳐진 길로 나아간다. 걷거나 휠체어를 타거나 부축 받거나 어르신들이 다시 소녀로 소년으로 변신하는 시간으로 들어간다. 봄바람이 파도처럼 넘실거리자 얼굴 위로 주름진 얼굴은 사라지고 리즈의 시절로 돌아간 모습이 되고 웃음소리 낭자하다. 그래, 다시 피어나는 거야.

벚꽃의 꽃말이 잠시 머무는 아름다움이라고 했던가. 꽃은 폭포수처럼 쏟아져 내리는데 눈부신 어르신들의 웃음이 환하게 번져나간다. 오늘 지금이 행복이고 즐거움인 것을.

Essay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