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나무의 시간

등록일 2024-04-03 17:52 게재일 2024-04-04 16면
스크랩버튼
정미영 수필가
정미영 수필가

봄바람이 고즈넉한 숲을 흔들어 깨운다. 돋을볕의 줄기들이 나무 사이로 퍼져나가면 밤사이 내려앉았던 어둠이 서둘러 제 갈 길을 떠난다. 나뭇가지들은 따뜻한 바람의 손길이 닿자마자 앙증맞은 꽃망울을 터뜨리느라 분주하다.

나무들은 오래 전 각인된 유전자의 기억으로 봄을 기다리는 것이리라. 환경에 적응하면서 대대손손 수천 년을 지탱해 온 나무의 저력이 새삼 경이롭다. 무리지어 사는 것처럼 보여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나무도 저마다 개별적으로 존재하면서 각자의 속도로 오랜 세월의 흐름을 건너왔겠지.

나는 봄맞이를 하려고 나무 앞에 선다. 겨우내 움츠렸던 가슴을 펴고 환한 얼굴로 나무를 마주하고 있다. 나무는 해마다 세찬 바람에 쓰러지지 않고, 매서운 추위에도 씩씩하게 견뎌낸다. 나는 그러한 나무들을 보면서 지난겨울에도 봄의 마음이 변하지 않고 우리를 찾아올 것이라 믿었다. 봄바람이 불어와 얼었던 계곡물을 녹이고 나목의 수피를 봄기운으로 물들일 것이라 의심하지 않았다.

나는 나무를 쓰다듬으며 자연의 섭리에 대해 생각해 본다. 꽃 피는 봄의 따스함, 뜨거운 여름 햇볕 아래의 열정과 낙엽이 휘날리는 가을의 쓸쓸함, 무채색 겨울 숲속에서의 고요를 떠올린다. 잊지 않고 반복되는 시간의 순환은 나에게 편안함과 안정감을 준다.

어느 한 계절 동안 내 삶에 모진 풍파가 찾아와 내가 침잠하고 바닥을 헤매다가도, 언젠가 다가올 앞날에는 희망이 두 팔 벌리고 안아주겠지, 나를 기대하게 만들고 꿈을 꾸게 만드는 힘이 있다.

소설을 쓰는 K작가가 이탈리아를 다녀오면서 지인들에게 선물을 했다. ‘판타레이(panta rhei)’가 적힌 냉장고 마그넷이었다. 냉장고에 붙여 놓고 오며가며 글자를 들여다보다가 요 며칠 생각했다. 나무처럼 판타레이(panta rhei)를 잘 증명하는 존재가 있을까. 그리스의 철학자 헤라클레이토스는 ‘만물은 유전(流轉)한다’고 말했다. 매일 찾아오는 24시간의 하루도 어제의 하루와 오늘의 하루, 내일의 하루가 다르듯이, 나무가 일생을 견뎌내는 시간을 지켜보면 모든 것은 변화한다는 사실을 나는 여실히 느낄 수 있었다.

나무의 시간은 계절에 따라 변곡점의 연속이다. 뿌리가 땅 속 깊이 뻗어 있고, 나뭇가지가 하늘을 향해 뻗어 생명력을 과시하는 동안에는 정체되지 않고 끊임없이 자신의 모습을 변화시키고 내적 성장을 도모한다. 나무를 자세히 관찰하지 않고 스쳐 지나가면 알 수 없다. 나무의 하루가 겉으로는 큰 변화가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매순간 생장점을 성장시켜 뿌리를 내리고 싹을 틔우고, 햇빛을 받아 꽃을 피우며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나의 내적 성장도 때로는 나무를 닮아 천천히 이루어져야 되리라.

북 트레일러 강좌에 등록했다. 몇 번의 수업을 들은 뒤, 복습하려고 휴대폰 앱에 들어갔다. 제작을 위해 알아야 되는 개념과 요소를 기억해 내며 고군분투했다. 19초 영상을 만드는데 5시간이 걸렸다. 디테일을 표현하기 위해 1초 단위로 크롭, 키프레임, 페이드 등의 다양한 기법을 작동시켜야 했고 어떤 배경과 사진이 어울릴지, 글씨체와 음악은 무엇이 좋을지를 선택하는데 고민했다. 서툴고 어려워 한숨이 저절로 나왔다. 어느 순간 배움의 즐거움과 스트레스의 무게가 비례해지며, 수시로 양가감정에 시달렸다.

북 트레일러 제작법을 능숙하게 배우고 싶었다. 강사님께서 나의 책 ‘사계’로 영상을 제작해 오셔서, 그것을 표본으로 매시간 수강생들과 수업하고 있기 때문에 혼자서 잘해 내고 싶은 마음이 늘었다. 또한 다른 작가의 책도 멋진 영상으로 만들어 주고 싶었기에 욕심이 생겼다. 배움의 속도가 느린 나를 배려와 인내심으로 지켜봐 주시는 강사님과 다른 수강생들께 미안함이 커질수록 마음이 앞섰다.

나무의 시간을 닮고 싶은, 햇살 고운 봄날 오후다. 나무의 시간에 가치를 부여하며 나의 시간을 투영해 본다. 나의 성장이 느리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최선을 다해 배운다면, 시간이 흐름에 따라 나는 변화하고 발전할 것이다.

Essay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