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헬스 산업 미래 발전포럼<br/>관계 전문가 150여명 참석 토론
철강, 2차전지와 함께 포항의 주요 산업기반인 포항의 바이오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진단하는 포럼이 열렸다.
포항는 21일 체인지업그라운드에서 ‘바이오헬스 산업에서 찾는 포항 미래 발전포럼’을 개최했다. <사진>
‘미래 핵심 성장동력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을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에는 이강덕 포항시장과 김일만 포항시의회 부의장, 김주한 서울대 의대 교수를 비롯한 지역 R&D 기관장, 관계 전문가 등 150여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포항시가 보유한 독보적 바이오 인프라를 바탕으로 바이오헬스 산업 선도 플랫폼’과 ‘경계를 허무는 혁신생태계를 조성’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또 ‘대한민국 바이오헬스 산업 인재 양성 시스템 구축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김주한 서울대 의대 교수는 ‘바이오헬스 산업의 현재와 미래 전망’을 주제로 기조발표를 진행했다.
김 교수는 “AI 기술발전과 국가 바이오뱅크의 방대한 인체 데이터가 결합돼 의학 연구 대량생산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며 “이를 활용한 미래 의료시스템 구축 및 ‘연구-개발-산업화-금융’의 강한 연계 및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김경태 한동대 글로벌 녹색 기술연구원 석좌교수는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방안’에 대해 발표를 했다.
그는 “지역 이점을 이용한 특화산업 개발이 필요하다”면서 “고부가가치의 바이오 나노소재 개발을 통한 기술력 제고와 새로운 비즈니스 확대로 바이오헬스 산업을 육성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강덕 시장은 “시는 지역의 미래먹거리 산업으로 바이오 헬스 분야를 일찍이 주목하고 지속적인 투자를 진행하는 중”이라면서 “지역이 가진 우수 인프라와 경쟁력을 바탕으로 바이오산업을 집중 육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시라기자 sira11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