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역은 지금 어디 있는가?
포항이 어촌에서 해병대 기지가 설치되고 군인들이 오가고 포항제철로 철강도시가 되고 다시 포스텍을 기반으로 첨단과학의 도시로 변해가는 과정을 그대로 함께 한곳이 포항역이다. 필자가 포스텍의 정년 퇴임을 하기전인 7년 전 하루아침에 폭파되어 사라진 포항 역사를 기억하면 잠이 안 올 정도로 지금도 괴롭다.
해외 출장을 다녀온 후 그 정겨운 역이 사라지고 도로가 휑하니 휑하니 뚫린 걸 보았다. 더구나 고풍 건물이 즐비한 유럽 출장을 다녀오는 길이었기에 그 충격은 엄청나게 다가왔다. 포항역사가 보존이 안되고 길을 내기 위해 부순다는 걸 도저히 상상하기 힘들었기에 나의 두 눈을 의심했다. 포항의 눈물과 기쁨, 그리고 오랜 역사를 간직한 포항역이었다. 일제시대부터 사용하기 시작해 해방과 함께 건축된 포항역사는 거의 100년 가까운 포항의 산증인이다.
그러나 순식간에 포항역은 사라졌다. 폐철도 공원 조성 시 축소된 모형을 건립한다고 시장은 약속했었는데 지금 축소된 모형이라도 만들어졌는지? 설사 만들어진들 그런 모형이 감동을 줄 수 있을까?
시장을 찾아가 물었다 “왜 포항역사를 부순 것인가?” 답은 간단했다 “역사적 가치가 없기 때문이다” 역사적 가치란 무엇인가? 건축양식이 아주 특이해야만 역사적 가치를 가져야만 하는가? 포항의 주민들의 수십년 손때가 묻은 문고리 하나도 소중하다. 그 역사가 가진 수없는 사연과 눈물겨운 그리고 즐거운 추억들이 모두 소중한 것이다.
왜 한국은 역사를 무시하고 부수고 없애는 것일까?
옛 건물들과 유적지들은 사라지고 있다. 서울에서 학교를 다닐 때 늘 지나다니곤 했던 종로2가에 있던, 역사적 보존가치가 높은 화신백화점 건물도 사라졌다. 일제시대에 건축되어 옛 건축미를 가지고 있던 그곳은 초현대 건물로 바뀌었다. 중앙청 건물은 일제의 잔재라고 하여 폭파시키고 해체하였다. 단성사 국도극장 등 보존가치가 높은 건물들이 이젠 흔적조차 찾아볼 수가 없다.
유럽의 도시들, 파리나 런던, 바르셀로나나 리스본 등은 도시 전체가 하나의 박물관으로 형성되어 있다. 옛 건물들이 그대로 보관되어 있다.
그러한 역사적 건물들은 관광자원뿐만 아니라 국민들의 자부심으로 자리잡고 있다. 치욕의 역사적 건물, 부서진 역사적 건물도 원형 그대로 보존하여 후세들에게 교훈으로 삼고 있다. 역사와 전통이 마구잡이로 파괴되고 있는 것을 더 이상 두고 볼 수는 없다. 포항의 역사와 포항시민의 애환이 깃든 역사적 건물이 하나둘 사라지고 있는 데 대해 옛 건물의 역사적 의미를 되찾고 미래의 소중한 유산으로 보존하기 위한 한 방안을 세워야 하고 역사적 건물들은 복원되어야 한다. 지역을 상징하는 건물들, 포항역사, 청룡회관, 포항 문화원, 옛 포항시청사들은 보존되어 관광객을 충분히 끌 수 있는 자원이 되었을 것이다.
구룡포에 있는 일본인 거리는 옛 건물들로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다. 이같은 유산들이 시민들의 의견 수렴을 충분히 하지 않은채 공무원들의 판단에 따라 흔적도 없이 사라져 시민들의 향수와 자긍심도 훼손되고 있다. 시민들의 삶과 궤적을 함께 해온 유서깊은 건물들이 지역사회와 한마디 상의 없이 사라지도록 내버려둬서는 안 된다.
진정한 역사의식과 충분한 의견 수렴이 필요하다. 지역의 역사성이 깃든 건물 등 유·무형 자원에 대한 아카이브(기록보관소)도 구축해 이들 자원에 대한 체계적인 보존과 홍보가 이뤄져야 한다. 역사적 유물들을 철거하기 전에 ‘지역문화유산보존심의위원회’같은 별도기구를 두고 시민들과 합의해 결정해야 한다. 80년대 초 일본의 역사도시 교토(京都)의 철도역 복합개발을 두고 보존과 개발이라는 가치가 충돌한 예가 있었다. 교토부는 10년간의 지루한 공방 끝에 개발로 결정했고, 그 과정에서 역사보존과 개발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논의가 이뤄진 사례가 있다.
현대의 첨단정보통신사회는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변하고 있으며, 지금 우리가 사는 도시가 미래의 변화에 얼마나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느냐에 우리의 생존이 달려 있다. 그렇기 때문에 도시계획도 중요하고 경제적 효용도 가치가 있겠지만 미래도시에서의 삶과 도시의 모습도 함께 그려보는 지혜가 우리들 모두에게 절실히 요구된다.
거창한 문화재 보존이 아니더라도 우리 시만의 축적된 도시의 역사, 이야기, 기억이 스민 곳이라면 체계적으로 보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시민과 전문가들이 모여 ‘역사유물 보존 및 회복 시민위원회’같은 것을 만들어 역사적 유물들의 보존방안을 포항시에 요구해야 한다.
사라진 포항역사를 대신하여 뚫린 그 길로 정말로 차를 몰고 가기 싫다. 포항에 들를 때면 그 도로에서 눈길을 돌려 우회 길로 달리는 필자의 심정은 아마 지금 포항의 역사를 그리워하는 시민들의 심정과 같을 것 같았다.
찻집으로 단장한 옛 포항역사에서 차 한잔을 마시면서 코스모스 하늘 거리는 옛 철길을 걷는 그런 낭만을 포항시는 시민으로부터 앗아갔다.
포항역은 정녕 사라졌는가? 나의 가슴을 타고 흐르는 눈물은, 역사를 잃어버린 포항시민들의 눈물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