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포스코국제관 대회의실<br/>동해의 지질학적 잠재력 논의<br/>온라인 병행 실시간 시청 가능
포항시가 촉발 지진 발생 6주년을 맞아 오는 15일 오전 10시부터 포스코국제관 대회의실에서 ‘2023 포항지진 국제포럼’을 온·오프라인으로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포항 촉발 지진을 최초로 주장한 이진한 고려대학교 교수가 추진위원장을 맡았다.
이 교수는 ‘동해의 지질학적 잠재력’을 주제로, 지열 발전부지 안전관리뿐만 아니라 동해의 지진 및 지진해일의 가능성 등에 대해 발표한다.
올해 상반기 동해 해역에서는 수십 건의 지진이 약 2개월에 걸쳐 지속 발생했다.
그 여파로 시민들의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포럼은 동해를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향후 동해의 활용과 재난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포럼에서는 학술 발표와 포항지진 극복에 기여한 유공자 표창패 수여, 포항지진 후 변화와 회복에 대한 디지털 사진전이 준비돼 있다.
또 각종 재난·재해로 인한 정신적 불안과 상처 회복을 위한 트라우마 치유 상담센터, VR 지진 체험, 지진 대피 방법 교육 등도 운영한다.
한편, 포항지진 국제포럼은 지난 2019년 포항지진이 지열 발전사업에 의해 발생한 촉발 지진임을 국내외 전문가들의 발표를 통해 전 세계에 널리 알리기 위해 시작됐다.
매년 포항지진 및 유발 지진에 대한 과학·법률·사회과학 등 다양한 분야의 발표와 토론도 이어져 지진극복의 발판을 마련하는 데 큰 역할을 해왔다.
김남진 도시안전해양국장은 “포항지진 국제포럼은 지진발생 원인 규명 등 포항시가 지진을 극복하고 안전 도시로 도약하는 데 큰 역할을 해왔다”며 “이번 포럼에서도 포항지진과 동해의 지질학적 잠재력을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 결과가 발표될 예정인 만큼 많은 시민들의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국제포럼과 관련된 행사 개요 및 상세 일정 등은 포항지진 국제포럼 홈페이지(www.pohangeq.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행사 당일 온라인으로 실시간 시청도 가능하다.
/이시라기자 sira11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