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지속 가능한 재활용 체계를 갖추어야

등록일 2023-10-23 18:20 게재일 2023-10-24 18면
스크랩버튼
김규인수필가
김규인수필가

비닐봉지를 뜯어 재활용품을 모으고 지게차를 이용하여 다시 이동용 컨베이어 벨트가 있는 곳으로 밀어 넣는다. 재활용품이 컨베이어 벨트를 타고 흐른다. 벨트에 붙어선 사람들은 재활용품을 종류별로 골라서 큰 포대에 담는다. 채워진 포대는 종류별로 단단하게 묶여서 재활용 공장으로 다시 보내진다. 선택받지 못해 쓸모없는 물건은 폐기물 처리센터로 보내어 태운다. 타면서 나오는 분진과 냄새와 유독가스는 우리를 괴롭힌다.

쓰레기 재활용의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어쩌면 매일 되풀이 되는 문제이다. 그런데도 지속 가능한 시스템을 우리는 아직 갖추지 못하고 있다. 지구는 버려진 폐기물로 더 이상 버티기 힘들다고 하는데 우리는 남의 일인 양 나 몰라라 한다. 서로가 남 탓만 하며 지구를 살리는 시간을 허비한다.

북태평양에선 미국의 텍사스주보다 큰 플라스틱 섬이 매년 그 크기를 더하는데 사람들은 누구도 먼저 나서서 해결하려 하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쓰레기를 마구 쏟아낸다. 남극에선 빙하가 계속 녹아 빙하를 보기가 어렵다. 지구의 비명으로 세계 각국에서는 홍수가 나고 50도를 오르내리는 폭염으로 사람들이 죽어 나간다. 가뭄으로 물 구경을 한 지 오래된 나무들은 자연발생적인 산불로 몇 달째 자신을 태운다.

우리나라에서도 쓰레기 문제는 심각하다. 분류되지 않은 쓰레기는 태워지거나 땅에 묻는다. 묻을 곳이 모자라서 새로운 매립지를 정할 때면 그 지역 주민들의 불만이 늘어난다. 쓰레기를 태우는 소각시설을 건설할 때도 마찬가지다. 내가 사는 곳에 폐기물 처리 시설 건설을 막는다. 그나마 재활용품을 처리하는 업체가 있기에 이 정도인 것을 생각하면 다행이다.

2021년 기준 재활용업체는 6천720개다. 2020년 대비 2.8% 늘어난 수치이다. 종업원 수가 5인 이하 업체의 비율이 53.8%이고 10인 이하는 4천955개로 73.7%이고 100인 이상인 업체는 98개로 1.5%를 차지한다. 우리나라에서 쓰레기로 버려지거나 소각하는 것을 감안하면 턱없이 부족한 수치이다.

대다수의 재활용업체가 영세하기에 손쉽게 처리할 수 있는 물건만을 모아서 처리하는 수준에 그친다. 그나마 3대 화학적 재활용 기술을 사용해 연 32만t의 폐플라스틱을 화학적으로 재활용하는 복합 플라스틱 재활용 산업체를 울산에 건설한다. 재활용 소재 개발과 자원순환 생태계를 위해 삼성전자가 ‘신환경경영전략’을 발표한 것은 다행이다. 폐기물 재활용에 있어 중요한 생산자가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제는 살기 위해서라도 재활용 비율을 높여야 한다. 정부는 쓰레기를 줄일 수 있는 촘촘한 법을 만들고 생산자는 쓰레기가 적게 나오도록 제품 포장과 생산 방식을 바꾸어야 한다. 소비자는 재생 원료로 만든 제품의 사용을 늘리고 쓰레기를 버릴 때는 철저하게 분리하여 배출해야 한다.

폐기물 처리에 더는 지체할 시간이 없다. 폐기물 재활용을 위한 지속 가능한 선순환 체계를 하루빨리 구축해야 한다. 그렇게라도 해야 지구가 더 이상 오염되는 것을 줄이고 사람의 삶이 가능한 지구를 보존할 수 있다.

길 위의 마음 읽기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