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모서리

등록일 2023-10-22 19:43 게재일 2023-10-23 17면
스크랩버튼
문 모서리.

갑자기 비명 소리가 들렸다. 여기저기서 딩동거리던 피아노 소리가 뚝 끊겼다. 수업을 하다 말고 부리나케 달려갔다. 교실 바닥에 의자들이 나뒹굴고 그 옆에서 상진이가 쓰러져 울고 있었다. 상진이의 이마가 지퍼처럼 열려 피가 흐르고 있었다. 구급약품을 꺼내 응급조치를 하는 사이 아이들이 자초지종을 말했다. 상진이가 의자 위에서 장난을 치다가 교실 문 모서리에 이마를 부딪쳤다고. 병원에 데려가려고 지갑을 챙기는데, 상진이가 문 앞에서 모서리를 흘겨보고 있었다. 내가 손을 잡자 씩씩거리며 발로 문설주를 몇 차례 걷어찼다. 내가 무슨 잘못이라도 했냐는 듯 모서리는 시치미를 뚝 떼고 있었다.

병원으로 가는 길에 아이는 엄마를 찾았다. 접수하고 기다리는 동안에도 입구만 바라보았다. 상처를 꿰매기로 하고 잠시 대기하는데, 한 여인이 숨을 헐떡이며 뛰어 들어왔다. 당황한 눈빛으로 두리번거리는 것으로 보아 상진이의 엄마가 아닐까 짐작했다.

“아녀하태요”

어눌한 발음으로 내게 인사를 건넸다. 깡마른 체형에 키가 자그마했다. 피부는 검었으나 인상은 선해보였다. 급하게 달려 온 탓인지 옷차림이 흐트러져 있었다. 그동안 할머니와 통화를 해서 상진이 어머니가 동남아 여성인 줄 몰랐다.

상진이의 이름이 호명되고 수술실로 함께 들어갔다. 하지만 의사는 어머니를 내보내려고 했다. 두려움을 이기지 못한 상진이가 울음을 터트렸다. 간호사에게 떠밀려 나온 상진이 어머니가 한마디 던졌다.

“한국 사람들은 다 모서리 같아요”

무뚝뚝한 경상도 말씨를 두고 하는 말인가 싶었지만 그런 이야기는 아니었다. 상진이가 입학한 후, 일어난 이야기들, 아이들과의 문제, 같은 반 엄마들과의 갈등, 선생님과 의사소통이 원만하지 못해 겪은 해프닝 등을 서툰 한국말로 이야기했다. 상진이의 어휘력은 또래보다 떨어졌다. 수업을 이해하는 속도도 차이가 났다. 상진이는 늘 구석으로 밀려났다. 이른바 ‘왕따’였다. 아이들의 말과 행동은 상진이에게 상처가 되었지만 아이들은 그것을 알지 못했다.

다문화가정의 아이라는 선입견 때문에 행여나 불이익을 당할까 싶어서 그동안 학원도 찾아오지 않았다고 했다. 그러고는 나의 손을 잡고 울음을 터트렸다. 부드러운 피부와 따뜻한 체온 그리고 두 뺨에 흐르는 눈물, 상진이 어머니도 여느 여성과 다르지 않았다. 상진이를 잘 부탁한다며 몇 차례나 당부했다. 어둠 너머로 걸어가는 모자의 뒷모습이 지워지지 않았다.

김경아 작가
김경아 작가

두 면을 연결해 주는 곳, 모서리는 한 면이 끝나는 지점이지만 새로운 면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태어나서 살던 세상을 넘어 새로운 세상에서 꿈을 펼치려 왔지만 자꾸만 모서리로 밀리기만 했을 것이다. 그래서 모서리는 상진이 어머니에게 두려운 각이었을 것이다.

상진이 어머니에게 한국인의 말투와 행동은 모서리 같았을 것이다. 출생지가 다르고 말이 다를 뿐인데, 그렇다고 남을 해치기 위해 각을 세운 것도 아닌데, 상진이 어머니의 푸념이 내 가슴에 모서리가 되어 박혔다.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엄마는 같은 마음이다. 언어가 다를지라도 엄마의 눈은 내 아이에게 향해 있고 엄마의 귀는 내 아이의 소리에 열려있다. 모 나지 않고, 모서리에 긁히지도 않고 잘 자라주길 바라는 마음은 피부가 검다고 다를까.

학원으로 돌아와 상진이에게 상처를 준 문의 모서리를 유심히 들여다보았다. 뾰족하고 날카로웠다. 아이가 얼마나 아팠을까, 내 이마가 저리는 것 같았다. 이곳저곳 위험한 모서리를 찾다가 나도 타인을 들이박고 시치미를 떼었을지 모른다는 생각에 이르렀다.

누구나 모서리를 가지고 있다. 퍼즐 맞추기에서 아귀가 잘 맞는 모서리와 모서리가 만나면 서로에게 상처를 주지 않고 그림이 이어진다. 어쩌면 우리는 이를 잊고 사는 것은 아닐까. 퍼즐이 다 맞춰지면 바라는 세상이 펼쳐지는데 말이다. 아이들과 함께 모서리에 두꺼운 천을 덧댔다. 아이들의 표정이 다시 밝아졌다. 상진이의 얼굴도 덩달아 환해졌다.

김경아의 섬섬옥수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