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우 지사, 지방시대 선포식서 ‘경북형 6대 프로젝트’ 청사진 공개<br/>“지방정부·대학·기업이 先투자 실행하는 지방분권형 국가경영 필요”
경북도가 지역균형발전과 지방분권을 위한 지방시대위원회를 다음달 중 출범시키고, 지방소멸 극복에 매진한다.
이철우 도지사는 14일 부산에서 열린 ‘지방시대 비전 선포식’ 개최에서 “지방소멸을 막고 청년이 살고 싶은 경북을 만들기 위해 대학 주도의 아이디어 산업 시대를 선도하고 지속 가능한 청년 정주 도시를 조성해 지역 가치를 공유하는 글로벌 개방사회로 변화를 이끌어내겠다”고 밝혔다. 더불어 지역소멸을 극복하는 최초의 지방정부 모델인 ‘경북형 6대 프로젝트’의 청사진도 공개했다.
앞서 경북도는 ‘경북도 지방자치 분권 및 지역 균형발전에 관한 조례’를 제정해 ‘경북도 지방시대위원회’ 구성 근거를 마련했다.
위원회에는 기초 지방정부도 함께 주도적인 역할을 하도록 도의원 2명과 시장군수협의회장과 시군의장협의회장을 당연직 위원으로 포함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대학, 기업, 문화관광, 사회복지, 외국인, 청년, 농업 등 사회 전반의 대표를 위원으로 선임할 계획이다
이철우 지사는 지역소멸 극복을 위해 지역혁신대학 시범사업(RISE), 글로컬30 등 선정된 공모사업을 K-U시티를 통해 지역 현장에 실현하고 이를 발전시켜 대한민국의 선도모델인 경북형 기회발전특구로 완성한다는 복안을 내놨다. 이를 위해 기업과 지역이 동반 성장할 수 있도록 기업을 유치하고 대학-전문대-고교가 일체형 인력양성과 입지·산업·교육·의료 라이프케어 규제혁신을 추진하고, 배움터-일터-삶터가 어우르는 캠퍼스형 창의 주거를 조성할 방침이다.
또 경북형 특성화 중심대학을 추진해 1시군-1대학-1특성화(기업)와 연구·창업 중심의 특성화, 경북형 EU대학 모델, 지역 소외계층 전주기 교육프로그램 지원, 4차산업 주도 창업 캠퍼스 조성 등 아이디어 창업 밸리를 육성한다.
지역 가치를 공유하는 글로벌 개방사회로 변화를 주도하기 위해 입국부터 영주까지 촘촘한 지원체계도 마련한다.
K-드림 통합지원센터를 통해 비자 발급에서부터 취업, 거주 마련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하고, 경북 글로벌 학당을 운영해 한국어 교육, 경북학, 취창업 교육 등 정착 초기 외국인 오리엔테이션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지역에 부족한 산업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지역특화비자, K-GKS 등을 통해 외국인 유학생 1만 명 유치도 추진한다.
정주 인구중심에서 생활인구 중심으로의 인구개념 패러다임 변화에 신속한 대응을 위해 경북만의 특화된 수용 태세 마련과 통합지원체계도 마련한다.
더불어 기존 취약계층 위주·생애주기별 지원 등의 청년정책에서 이제는 경북과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청년 성공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역이 주도하는 지방시대를 위해서는 지방정부도 현장 중심의 플랫폼 정부로 바꿔야 한다”라며, “지역 실정에 맞도록 지방정부와 대학, 기업이 우선 투자해 실행한 후 중앙정부에서 역매칭하는 방식으로 지방분권형 국가경영시스템으로 대전환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