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고향올래 공모’ 최종 선정<br/>5억 확보 워케이션 공간 등 조성<br/>1층 시정혁신 청년활동지원센터
[구미] 구미시가 행정안전부 ‘고향올래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돼 국비 5억원(총사업비 20억)을 확보함에 따라 ‘구미역 복합문화거점공간 Ground9 조성사업’<관련기사 지난 17일자 11면>이 탄력을 받게 됐다.
이번 공모사업은 생활인구를 유입해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는 사업으로, △두 지역 살아보기 △로컬유학 생활인프라 조성 △은퇴자 공동체마을 조성 △청년복합공간 조성 △워케이션 △지역 특색 등 6가지 시책을 반영한 자율사업으로 추진됐다.
비수도권 지자체를 대상으로 하는 이번 사업에는 52개 지자체가 접수했으며 이들 중 ‘구미역 복합문화거점공간 Ground9 조성사업’등 21개 지자체가 최종 선정됐다.
지역 특화형 사업인 ‘구미역 복합문화거점공간 Ground9’은 장기간 공실이 지속된 구미역을 활용한다.
사업 명칭인 Ground9은 ‘Greet(환영하다)-Round(모이다)-in 9(구미)’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구미역 공실을 워케이션 업무공간·커뮤니티 공간 등을 조성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방침한다.
특히, 지난 3월 청년기본법상 명문화된 청년활동지원센터를 1층에 마련해 국정과제에 최초로 반영된 청년 정책 기조를 뒷받침한다. 청년들의 자유로운 활동 공간인 청년활동지원센터를 통해 청년이 시정 혁신의 주역으로 거듭날 토대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역사 2층은 행안부 2023 지자체 저출산 대응 공모사업으로 스몰웨딩테마 북카페 ‘결혼스토리 문화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시는 지난 7월 사업계획서를 제출하고, 8월 서면 심사를 통과해 현장 심사를 앞두고 있다. 한국철도공사와도 지속적인 조정과 협의를 해나가고 있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구미의 발전에는 청년이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며 “구미역을 중심으로 역량을 결집해 구미시가 인구 유입 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구미시는 구미역후 지하주차장을 10년 만에 재정비·개방(총 266면 확보)했으며, 이달 22일부터 10월 말까지 시행되는 한국철도공사의 주차환경 개선사업으로 타워주차장의 주차 규모를 43면 확장(기존 319면→완료 후 362면)하고 노후시설을 정비한다.
/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