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선바위 별곡

등록일 2023-08-06 19:12 게재일 2023-08-07 17면
스크랩버튼
포항 죽장면 선바위.

저 외로움의 깊이는 얼마일까. 선바위가 망부석처럼 흐르는 강물을 묵묵히 바라보고 있다. 계절 따라 햇볕은 빛과 그림자를 얼마나 드리웠는지. 주름마다 검푸른 이끼가 박혀있다. 인고의 세월에도 기울지도 아니하며 선바위가 홀로 아리랑을 부르고 있다.

선바위 옆 가파른 절벽 아래 일제당이 깊은 침묵에 들었다. 구름과 산은 서로 모양을 바꾸는데, 발걸음이 닿기도 힘든 이 깊은 산 속, 선바위와 일제당은 동무처럼 변함없이 지난 시간을 함께했다. 일제당에서 입암서원을 바라본다. 서원 앞쪽으로 흐르는 가사천과 물길을 휘돌게 하는 절벽을 바라보며 많은 가객이 시를 읊었다. 낭낭한 소리들이 귓전에 들리지만 선바위는 내 아버지처럼 침묵했을 것이다.

글을 쓰고 싶었던 아버지는 세상의 뒤편에서 폐결핵과 싸웠다. 때때로 피를 토했고 시름시름 야위어 갔다. 학업은 일찌감치 포기했고 가장의 삶도 이어가기가 힘들었다. 자신의 처지는 굵직한 기둥처럼 가슴에 박혀 언제 삶의 마침표를 찍을지 몰랐다.

아버지를 대신해 엄마가 세상으로 나갔다. 세상은 만만치 않았다. 바람이 불고 파도가 일고 가끔 비바람도 몰아쳤다. 여자 혼자 식솔을 먹여 살리려면 너무나 힘에 부쳤다. 아랫돌 빼서 윗돌 괴는 살림은 늘 언제 무너질지 늘 불안했다. 문틈으로 찬바람이 스며들었지만 아버지는 그것을 막을 힘조차 없었다.

아버지의 삶은 돌처럼 굳어버렸다. 파도가 길을 내어주지 않으면 갈 수 없었고 바람이 이끌어주지 않으면 한 발도 움직이기 힘들 정도로 멈춰버렸다. 그렇게 아버지는 자식들의 삶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가슴 아픈 관조였다. 자식이 학교에 가도 한자리에서 바라보기만 했다. 자식이 글을 익히고 글을 쓰고 글처럼 살아낼 동안 아버지는 오롯이 바라만 볼 뿐이었다. 자식들에게 기대지 않고, 바라지 않고, 그냥 바라보기만 하면서 고독을 받아들였다. 마음속에 묻고 묻어 퇴적되어 온 외로움을 표현하지 않았다. 선바위는 강으로, 바다로 흘러가는 물을 바라보며 자신도 바다로 가고 싶은 꿈을 꾸어 보았으리라. 더 넓은 들판으로 나아가 젊은 기개를 마음껏 펼쳐보고 싶었을 것이다. 그러나 선바위는 흘러가는 물을 하염없이 내려다보며 그 속에 비치는 하늘을 보고 구름을 보며 넓은 세상을 동경했을 뿐이다.

빈자리보다는 선자리가 나았다. 비록 병든 아버지였지만 우리 자식들에게는 늘 든든한 아버지의 자리였다. 글을 읽어도 허공에 맴도는 소리가 아니었다. 강으로 바다로 고단한 길을 돌고 돌아와도 아버지는 언제나 그 자리에서 우리를 맞았다. 아버지는 우리들의 버팀목이 되어주었다.

어느 날 구순의 성상의 아버지가 피아노를 배우고 싶다고 했다. 아버지는 ‘클레멘타인’을 피아노로 치고 싶다며 당장 가르쳐 달라고 채근했다. 아버지는 한 쪽 눈이 보이지 않았다. 양쪽 청각을 80% 잃으셔서 장애 판정까지 받으신 아버지가 어떻게 피아노를 칠 수 있을까. 완주한다 한들 그 소리를 어떻게 들을 수 있을까.

방법을 생각하다가 스케치북을 꺼냈다. 색연필로 스케치북 위에 건반을 그렸다. 도부터 옥타브 위의 도까지를 글로 쓰고 솔 위에 숫자 3을 썼다. 아버지의 마음만큼 몸이 따라주지 않았다. 더듬거리다가 다시 악보를 보고 또 더듬거리기를 반복했다.

김경아 작가
김경아 작가

무더운 여름날이 지나고 무수한 나무 이파리가 떨어졌다. 겨울 초입에 들었을 때 아버지는 자식들을 모두를 불렀다. 저녁도 먹기 전에 아버지는 홀로 피아노에 앉아 자세를 가다듬었다.

‘넓고 넓은 바닷가에 오막살이 집 한 채 고기 잡는 아버지와 철 모르는 딸 있네’

아버지의 꿈은 거창하지 않았다. 가장으로서 해가 뜨면 세상에 나가 가족을 위해 열심히 그물을 던지고 싶었다. 오랜 세월 강바닥 저 밑에 깔려 있던 아버지의 소망이었다.

아버지는 굳은 손으로 건반을 짚었다. 한 마디 두 마디 세 마디, 자식들은 넓은 바다를 향해 노를 저어가는 아버지를 보았다.

김경아의 섬섬옥수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