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항시민에게 환경경제를 고함

등록일 2023-08-06 16:43 게재일 2023-08-07 16면
스크랩버튼
유성찬 (협동조합) 지속가능사회연구소 소장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포항시민연대 공동대표
유성찬 (협동조합) 지속가능사회연구소 소장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포항시민연대 공동대표

빅토르 위고(1802~1885)가 소설 ‘레미제라블’을 쓴 때가 1862년이다. 소설 속에 주인공 장발장이 하수도를 통해 탈출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적어도 1862년에 프랑스 파리 지하에는 사람이 서서 걸어 다닐 정도의 큰 하수도가 존재했다는 것이다. 1832년 파리에 콜레라가 유행하여 1833년부터 40년에 걸쳐 하수도 건설에 착수했다고 한다. 하수도라는 환경시설이 파리시민들을 콜레라로부터 구한 것이다.

지난해 추석 무렵에 포항 오천의 냉천을 덮쳤던 태풍 힌남노로 인해 9명의 생명을 잃었고, 포스코의 수해손실이 조단위였다는 소문이 있었다. 또 얼마 전 충청권, 경북북부권 집중호우로 인해 경북 예천에서만도 22명이 사망하였다. 금강 미호천교의 둑이 터져, 오송궁평지하차도가 침수되었고 14명의 목숨을 잃었다.

지하차도에는 집중호우를 대비해서 펌프가 설치되어 있기 마련이다. 그러나 펌프가 아직 설치되지 않았든지, 펌프가 작동되지 않았든지, 아니면 설령 펌프가 작동했더라도 강물의 범람으로 펌프용량의 한계를 넘었을 수도 있다. 단순한 홍수조절장비, 대용량 펌프이지만 우리나라의 모든 환경시설은 국민들의 안전, 생명권을 지키기 위해 존재한다.

이제는 환경시설, 환경산업 또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이산화탄소 제로, 탄소중립을 위한 환경경제와 환경산업은 인류의 생존과 우리 국민들의 경제생활을 담보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환경산업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먼저 하폐수 시설이다. 생활하수, 공장폐수도 몇 단계의 하폐수 정화시설을 거치면 2급수 정도의 맑은 물을 만들 수 있다. 물부족 국가인 우리나라에 아주 중요한 물환경산업이다.

그리고 대기오염을 해결하는 환경시설이 있어야 한다. 우리나라 주요한 굴뚝에는 센서가 달려있다. 실시간으로 다이옥신 등 환경오염물질을 체크하고 있고, 기준치를 넘게 되면 해당기업에 과태료 등 페널티를 매기게 된다.

또 생활쓰레기, 건축물폐기물, 의료폐기물 등을 태우는 소각로와 그에 붙어 있는 발전기, 스팀발생기와 같은 에너지시설이 있다. 그래서 쓰레기가 곧 에너지라는 말도 생겼다.

가습기살균제 같은 화학물질독성을 관리하는 산업, 아파트층간소음을 줄이기 위한 신소재사업, 학교교실의 석면제거 산업, 주유소에서 나오는 고약한 화학냄새나는 VOC가스 재흡수장치사업, 대기오염,수질오염 측정기 제조산업, 쓸러지를 재탄소화하는 에너지산업 등 환경과 관련하여서는 새로운 산업이 계속해서 생겨나고 있다.

기업과 공장에서 자동차, 가전제품, 생활편익상품을 생산하면 국민들이 이를 소비하여, 순환경제를 만들어 왔다. 이제는 환경순환경제가 대세가 되어 이 세상의 모든 제품들이 ‘친환경이냐, 이산화탄소를 적게 발생시키느냐’라는 아젠다가 경제와 산업의 핵심이 될 것이다. 환경을 이슈로 하는 경제가 국민경제의 대부분이 될 것이다.

기후위기를 극복하여 인류의 파멸을 막고, 집중호우가 자주 발생하는 기후변화 상황에서 국민들의 생명을 지키는 길은 현재의 모든 경제시스템을 지구환경을 지키는 방향으로 환경산업시스템으로 완전히 전환하는 길임을 이제는 누구도 의심하지 않는다.

거의 200년을 콜레라로부터 예방해준 파리의 하수도처럼 포항시민들의 건강을 위해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대기·수질 환경시스템,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로부터 시민들의 생명을 지켜주는 물관리시스템, 우리나라 국민경제에서 탄소국경세로부터 자유롭게 만드는 탄소중립경제, 2026년 이후, 포스코 철강제품의 유럽수출을 위한 수소환원제철소 등 이 모든 생산활동이 환경경제산업을 통해 이루어질 것이므로 포항시민들의 환경경제에 대한 깊은 관심이 필요할 때이다.

포스코가 친환경 철강재를 생산하여 탄소국경세에 대한 걱정 없이 세계적으로 철강산업을 리드해가기 위해서는 시간이 많지 않다. 현 시점에서 실기를 하면 다른 국가에 의해 추월당할 수도 있는 것이다.

포항이 이차전지특구로 지정되었다는 기쁜 소식이 포항시내 길거리마다 축하현수막으로 넘쳐나고 있다. 그러나 이차전지, 수소연료전지도 환경산업의 일환이지만 포항을 근대화로 일어서게 한 철강산업의 주역, 포스코의 수소환원제철소 건설에 대해서는 포항시와 포항시민들의 관심이 집중되지 않고 있는 것 같다. 지역 위정자들의 탄소중립, 환경경제에 대한 한계를 보여주는 것 같아 아쉽다.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수소환원제철소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포항의 경제산업을 위해서, 탄소중립경제를 위해서 수소환원제철소 건립은 리튬2차전지 만큼이나 중요하다. 포스코의 철강산업이 일몰(sunset)산업이 아니라면 탄소제로와 환경경제를 이차전지산업과 동일하게 관심을 가져야 한다.

또 어떤 환경단체는 대안도 없이 수소환원제철소 건립에 대해 부정적이다는 소식이 들리기에 NGO로서 탄소제로사회에 대한 의지가 있는지 의심스럽다. 환경경제에 대한 포항시민들의 깊은 관심이 우리를 탄소중립사회에서 존재케 할 것이다.

시사포커스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