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까지 2조 투자 유치 성과<br/>2027년까지 12조 투자 확정<br/>기존 배터리특구 종료 앞두고<br/>글로벌 혁신특구 지정 도전장
포항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가 전국에서 유일무이하게 4년 연속 우수 특구로 지정됐다.
포항시는 2일 “포항 배터리특구가 전국 29개 특구 가운데 매우 우수사례로 인정받아 4년 연속 우수 특구로 지정됐다”면서 “포항은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배터리 선도도시로 새롭게 태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시는 경북도와 함께 지난 2019년 당시 배터리 기술발전 속도를 법령이 따라가지 못해 관련 산업이 어려움이 많자 규제 특례를 지원 받는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를 정부에 신청, 지정받았다.
특구 지정 이후 현재까지 이곳에는 약 2조원의 기업 투자가 이뤄졌고 2027년까지 12조 원의 투자가 확정돼 있다.
에코프로와 포스코퓨처엠, GS건설, 솔루엠, 미래세라텍, 해동엔지니어링 등 기업들의 투자가 이어지면서 소재에서 부품까지 전주기 생산 생태계가 구축되고 있는 것.
이에 따라 분양률 1%에 불과했던 블루밸리국가산단 1단계 부지가 완판됐고 신규고용 2천명이 창출됐다.
또 포항시는 경북도와 함께 지방비 107억 원을 투자해 2021년부터 사용 후 배터리 추가 실증과 사업 지원을 위한 거점 공간인 이차전지 종합관리센터를 지어 운영해 오고 있다.
이 센터는 영남권 미래 폐자원 수거와 배터리 관련 스타트업, 저렴한 비용 사무공간 임대 등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 환경부의 사용 후 배터리 자원순환 클러스터와 인라인 자동평가센터 사업을 유치, 2024년부터 순차적으로 구축해 국가 차원의 사용 후 배터리 정책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예정이다.
포항시는 8일 기존 배터리특구 종료를 앞두고 그 연장선으로 준비 중인 배터리 글로벌 혁신특구에도 도전, 지역에서 글로벌기업이 탄생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든다는 방침을 가지고 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글로벌 혁신특구, 기회발전특구, 기업 혁신파크 등 투자유치 인프라를 구축하면 이차전지 메가클러스터가 조성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진홍기자 pjhbsk@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