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장마가 아닌 ‘한국형 우기’가 온다

등록일 2023-07-24 17:59 게재일 2023-07-25 18면
스크랩버튼
홍덕구포스텍 소통과공론연구소 연구원
홍덕구포스텍 소통과공론연구소 연구원

“정말 지루한 장마였다.”

1973년에 발표된 윤흥길의 소설 ‘장마’의 마지막 문장이다. 작중에서 한 달 가까이 지루하게 이어지는 장마는 이야기에 음울한 분위기를 더할 뿐 아니라, 그 자체로 이념대립과 전쟁이라는 민족의 비극을 상징하기도 한다. 그런데 앞으로는 이런 장마를 경험하기 어렵게 될지도 모른다.

장마철이라고 하면 6월 말에서 7월 말까지의 기간을 가리킨다. 이 시기 한반도에는 남쪽에서 올라온 고온다습한 고기압과 북쪽의 차가운 고기압이 만나 기압골이 형성되어 많은 비가 오게 된다. 이를 장마 전선이라 부르며, 7월 말 장마 전선이 한반도를 지나 북상하면 비로소 장마가 끝나고 8월 무더위가 찾아오는 것이 상식이었다.

장마철에는 우중충한 날씨가 길게 이어지고, 그동안 비가 약해졌다 강해졌다를 반복하게 된다. 하지만 요 몇 년 동안의 장마철 날씨는 그렇지 않았다. 뙤약볕이 내리쬐다가 갑작스럽게 집중호우가 쏟아지고, 비가 그치면 다시 하늘이 개어 폭염이 이어지곤 했다. 하늘에 구멍이 뚫린 것처럼 쏟아지는 폭우는 동남아시아 같은 아열대성 기후의 특징인 ‘스콜’, 즉 열대성 소나기를 연상하게 한다. 아열대 지역에만 서식하던 새, 곤충, 물고기, 식물 등이 최근 들어 한반도 남부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차가운 물에 서식하는 냉수성 어류의 서식지가 줄어들고 있다는 소식도 들린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한반도의 기후 자체가 변해가고 있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몇몇 기상학자들은 ‘장마’가 아니라 ‘한국형 우기’라는 용어를 사용하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장마’라는 단어로는 지금의 기상현상을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지난 7월 9일부터 전국을 강타한 집중호우는 50명의 귀중한 생명을 앗아갔다. 지금까지 겪어보지 못했던 엄청난 양의 비가 쏟아졌고, 그에 대한 대비 또한 충분하지 못했다. 14명의 귀중한 생명을 앗아간 충북 오송 지하차도 침수사건은 시간당 30.5㎜라는 집중호우로 인해 인근의 하천(미호천)이 넘치며 일어났다. 미호천에 설치된 임시 제방이 집중호우로 인해 불어난 수량을 감당하지 못하고 붕괴한 탓이다.

기존의 장맛비가 아니라, 아열대성 집중호우 상황을 가정해 하천을 정비하고 제방 또한 그 기준에 맞춰 설치했다면 이와 같은 불의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지 않았을까.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유행했던 ‘뉴 노멀(New Normal)’이라는 개념을 기상이변 상황에도 반드시 적용해야 한다.

작년 9월, 8명의 귀중한 생명을 앗아가고 지역사회에 큰 슬픔을 가져왔던 포항 아파트 지하주차장 침수 사고를 기억한다. 당시에도 냉천이 그토록 급격하게 범람할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했기에 피해가 더욱 커질 수밖에 없었다. 이는 안전불감증의 문제인 동시에, 수십 년간 쌓아온 기상상식이 더 이상 통하지 않는 기후위기 시대로 돌입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비극이 다시는 재발하지 않도록 기후위기를 ‘뉴 노멀’로 상정하고 ‘한국형 우기’에 대비해 기상정책과 인프라를 정비하자. 탄소 배출량을 줄여 지구온난화와 기후위기 상황 자체를 해결하려는 근본적 노력이 필요함은 물론이다.

홍덕구의 어림생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