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중반에 SBS에서 방영했던 ‘LA 아리랑’이라는 시트콤 드라마를 재밌게 봤던 기억이 난다. LA 한인타운에서 살아가는 한국계 이민자들의 삶과 애환을 코믹하게 그려낸 작품이다. 드라마는 신(scene)이 전환될 때마다 LA 한인타운의 풍경들을 잠깐씩 비춰주는데, 가로수로 야자수가 심어진 모습, 번화한 거리에 한글 간판이 붙어 있는 모습들이 이국적이면서도 어딘지 모르게 친숙하게 느껴졌다. 지금 생각하면 이 드라마는 ‘아메리칸 드림’의 1990년대 버전에 가까웠던 것 같다.
드라마에서는 거의 재현되지 않았지만, 미국에서 자리 잡기까지 이민자들이 겪어야 했던 고통은 결코 작지 않았다. 아시아계 이주민에 대한 인식이 상당히 개선되었다고는 해도 여전히 가시적·비가시적 차별이 존재하며,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아시아계 미국인을 대상으로 한 증오범죄가 증가하기도 하였다. 흑인이나 히스패닉(중남미계 미국 이주민)의 경우 인구적으로나 사회경제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관계로 이들을 조명하는 문화적 시도들도 많은 반면, 아시아계 이주민에 초점을 맞춘 문화콘텐츠는 매우 드물었다.
그런데 최근 들어 한국계 이민자의 삶을 직접적으로 다룬 작품들이 늘어나고 있다. 영화 ‘미나리’, ‘라이스보이 슬립스’나 캐나다에서 대흥행한 시트콤 ‘김씨네 편의점’ 같은 작품들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작품들은 지금까지 거의 주목받지 못했던 한국계(넓게는 아시아계) 이민자들의 정체성과 사회적 위치 찾기의 문제에 주목하였다.
지난 6월 14일 개봉한 장편 애니메이션 ‘엘리멘탈’ 또한 아시아계 이민자의 이야기를 다룬다. 이 영화는 땅, 불, 바람, 물이라는 네 가지 원소들이 모여 살아가는 ‘엘리멘트 시티’를 배경으로 불 종족 여성 ‘앰버’가 겪는 이중적 억압의 문제를 너무 무겁지 않게 이야기한다. 작중에서 불 종족은 다른 세 종족에 비해 사회문화적으로 차별받고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자신들만의 커뮤니티를 이루어 살아간다. ‘엘리멘탈’이 특히 인상적인 점은 인종차별에만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 인종집단 내부의 억압과 차이의 문제도 함께 다룬다는 것이다. 앰버는 ‘불’이라는 인종적 정체성에 의해 자신이 대표되는 것을 힘겨워한다. 앰버의 아버지는 그녀가 잡화상을 물려받길 원하지만, 앰버는 이민 1세대인 부모가 힘겹게 일궈낸 것들을 존경하면서도 그것을 물려받아 지켜내는 일에 커다란 부담감을 느끼고 있다.
이민자들의 이야기를 민족주의적 관점으로만 바라본다면 그들은 동포인 동시에 영원한 타자일 수밖에 없다. 그 과정에서 이민자 개개인의 목소리와 욕망은 소거되어 버리는 것이다. 그들이 갖고 있는 이산(離散)자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존중과 함께 그들을 타자가 아니라 사회에 다양성과 풍요로움을 부여하는 동료 시민이자 이웃으로 바라보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는 미국뿐 아니라 급속히 다문화 사회로 진입해가고 있는 한국 사회에도 매우 중요한 일이다. ‘엘리멘탈’ 포스터에는 “세상은 반대에 끌린다”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 낯선 것, 다른 것, 이질적인 것들이 세상을 더 풍요롭게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