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텍·고려대 등 8개大와 협약<br/>이차전지 초격차 기술 확보 등
포항시가 이차전지 분야 산업 생태계 확장을 위해 국내 유수 대학들과 연구개발 상호협력 체계 구축에 나섰다.
포항시는 5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포스텍과 고려대, 강원대, 경북대, 부경대, 영남대, 위덕대, 한동대 등 8개 대학 기업협업센터와 이차전지 R&D 협력 생태계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시 관계자와 백인규 포항시의회 의장, 박규영 포스텍 첨단소재 기업협업센터 교수, 이재륭 고려대 소부장혁신기업협업센터 부센터장, 봉한종 강원대 차세대에너지기업협업센터 교수, 이강용 경북대 ICC협업센터장 등 관계자 30여 명이 참석했다.
협약에 참석한 8개 대학과 포항시는 이차전지 초격차 기술 확보와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이차전지 연구개발 생태계를 구축하는 한편 이차전지 인력 양성, 공동 프로젝트 발굴 및 수행, 인적·물적·기술 교류에 적극 협력키로 했다.
포항시는 이번 협약으로 동남권과 대경권에 이어 수도권과 강원권까지 아우르는 협력으로 K-배터리 선도는 물론 글로벌 기술혁신 초격차를 이끈다는 방침이다.
포항시는 이차전지 핵심 소재 양산과 특화 연구기관이 집적돼 있고 포항가속기연구소는 3·4세대 방사광 가속기를 활용한 연구 등에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이차전지 소재연구센터와 포스텍 철강에너지소재대학원, 포항테크노파크, 포항금속소재산업진흥원, 나노융합기술원 등 세계적 수준의 연구개발 인프라도 갖추고 있는 등 포항은
이차전지 글로벌 선도도시로써입지를 골고루 갖추고 있다.
포항시 관계자는 ”이차전지 산업은 초격차 기술력과 기업지원, 우수인력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며 ”우수 대학들과 긴밀히 협력해 글로벌 기술혁신을 주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진홍기자
pjhbsk@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