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 우수인력 양성 업무협약<br/>고등 3년·전문학사 2년·학사 2년<br/>산업현장 맞춤 체계적 연계교육
포항시는 7일 한동대학교 올네이션스홀에서 권혁원 포항시 일자리경제국장, 최도성 한동대 총장, 곽진환 선린대 총장, 이성열 제철공고 교장, 배영호 포항테크노파크 원장, 송경창 경상북도 경제진흥원장, 김종수 한국생산성본부 경북동부센터장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이차전지 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
이번 협약에는 포항시, 한동대, 선린대, 제철공고, 포항TP, 경상북도경제진흥원, 한국생산성본부 경북동부센터가 참여했다.
특히 마이스터고 3년, 전문학사 2년, 학사 2년 등 ‘3+2+2 연계 교육’을 통해 이차전지 기업 채용 예정자 및 재직자를 대상으로 기업 현장 기술 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기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포항시는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 지정과 이차전지 종합관리센터 등 핵심 인프라 구축을 선제적으로 구축해 왔다.
포스코퓨처엠 등 국내외 이차전지 분야 핵심 앵커기업들이 영일만산단과 블루밸리산단에 공장을 설립하는 2027년까지, 현재 투자가 확정된 금액만 총 14조원에 달한다.
특히 포항은 이차전지 소재 중 가장 중요한 양극재 생산 세계 1위 도시로, 2030년에는 양극재 100만t 생산으로 매출액만 7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양극재 이외 이차전지 소재의 매출액을 더하면 100조 원을 훌쩍 뛰어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포항시는 7월 중앙정부의 최종 선정 예정인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을 위해 범시민 결의대회 등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권혁원 일자리경제국장은 “이차전지 사업은 포항뿐 아니라 국가적인 미래 먹거리”라며 “세계적 이차전지 허브도시로 도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은희기자 jange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