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불씨와 풀씨

등록일 2023-04-19 20:04 게재일 2023-04-20 16면
스크랩버튼
배문경수필가
배문경 수필가

헤스티아는 불의 신이다. 근래 부쩍 늘어난 산불이 사람들의 생명과 재산을 위협하고 있다. 제우스는 그녀에게 순결을 지킬 권리를 인정하고, 인간이 신에게 바치는 제물을 가장 먼저 받을 수 있는 권한을 주었다. 그 제물이 산불로 희생된 산과 나무, 사람과 동물을 결코 원하지는 않을 것이다.

식목일 가까이 전국에서 30여 건의 산불이 발생했다. 수십 년, 수백 년간 숲을 지키고 자란 수목들이 산불로 잿더미가 되었다. 산불의 원인으로는 실화(失火)가 25%로 가장 많고 쓰레기소각, 건축물화재, 논·밭두렁 소각, 성묘객 실화 등의 순서다. 지난해에는 740여 건의 산불이 발생해 20년간 가장 많았다고 한다. 곳곳에 산불감시원이 있지만 여전히 산불은 발생되고 있다.

크리스마스 이브였다. 월남전에서 살아온 해병대 아저씨가 선물한 아오자이를 입은 인형을 품에 안고 타오르는 불길을 바라보았다. 대들보며 기와가 와르르 무너져 내렸고 불길은 무녀의 춤사위를 보는 듯이 현란했다. 자다 뛰쳐나온 나의 맨발에 닿던 냉기를 아직도 기억한다.

그 화재로 평생 고통 받는 어머니를 보며 자랐다. 가족 모두 입을 다물고 있지만 하루아침에 전 재산이 잿더미로 변했고 어머니는 화병(火病)을 얻어 약을 끊임없이 드셨다. 늘 가슴이 답답하고 숨을 쉴 수가 없다며 고통스러워했다. 가족 모두가 길거리로 내몰렸다. 다행히 농사를 짓기 위해 만들어둔 농막이 결국 가족의 터전이 되었지만 남루하고 슬픈 가족사를 만들었다.

몇 해 전 영주 부석사를 구경하고 늦은 시간 돌아오다 산불을 만났다. 차들은 도로를 빠져나가지 못해 긴 줄을 만들었고 먼 곳에서 회색 연기가 다가오고 있었다. 차안에서 빠져나가지 못하고 갇혀 불길에 휩싸이는 것은 아닌지 불안에 떨었다. 어릴 적 화재도 떠오르고 영화에서 본 화재가 바로 앞에서 벌어지고 있는 느낌이었다. 벗어나지 못한다면 차를 포기하고 공룡을 피해 달아나던 사람들처럼 뒤돌아서 뛰어야하나 고민을 했다.

그때 신호봉을 든 경찰과 공무원이 길을 안내하기 시작했다. 사람들은 안내하는 길을 따라 그 상황에서 다행스럽게 벗어날 수 있었지만 늦은 밤까지 안내하는 사람들이 걱정될 정도였다. 그제서야 뉴스를 보면서 며칠 만에 잡힌 불길의 소식을 들었다. 하지만 또 다시 영주 박달산과 영지산 산불현장에 헬기 20대가 투입되었다는 뉴스를 읽었다. 끊이지 않는 산불에 잃게 될 인명과 재산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소설가 김훈은 소방차가 지나가면 안도한다고 했다. 소방관을 존경한다고도 했다. 오늘도 소방관이 없다면 화재현장에서 목숨 걸고 우리를 살려줄 사람이 누가 있을까. 식목일에 나무를 심는 것도 중요하지만 심은 나무를 잘 건사하는 것이 더 중요하지 않겠는가. 그리고 기념할 날이 많다. 삼일절, 광복절, 추석과 설날처럼 이제 소방관의 날이 하루 더 생겼으면 좋겠다. 우리의 삶과 우리의 재산을 객관적으로 지켜줄 사람은 소방관밖에 없지 않을까. 얼마 전 결혼식을 얼마 남겨두지 않고 화재에 투입된 젊은 소방관의 사망소식은 안타까움을 넘어 슬펐다. 너무나 중요한 한 사람을 잃은 슬픔이었다.

산불이 지나간 자리로 숲은 다시 생명을 키운다. 화마가 휩쓸고 지나간 자리에 싹이 트고 나무가 자라기 시작한다. 황량하던 벌판에도 한해살이풀들이 자라나고 키 작은 나무들이 자라기 시작하면서 아주 천천히 조금씩 숲이 만들어진다. 오랜 시간 후에 여러 조건에 따라서 숲을 구성하는 식물들이 바뀌어 가는 것을 숲의 천이(遷移)라고 한다. 그리고 숲을 구성하는 식물이 변하지 않은 상태로 지속되는 숲을 극상림(極相林)이라고 한다. 수종의 크기가 작고 수명이 짧은 종에서 크기가 큰 다년생(多年生)종으로 바뀐다. 이 과정은 백년에서 이백년이 걸린다.

잃은 것을 되찾는 것에는 오랜 시간이 걸리고 영원히 원래대로 돌아가지 못할 수도 있다. 큰 구원의 손길과 행운이 따라오지 않는다면.

오늘도 풀씨 하나가 곱게 싹틔운다. 불씨가 태운 대지 위로.

Essay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