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물동량 부족·이용률 저조… 포항영일신항만 매각 진행

이시라기자
등록일 2023-04-16 20:13 게재일 2023-04-17 1면
스크랩버튼
회사 자본금 780억 소진·금융차입금 350억, 경영난 갈수록 악화<br/>지분 29% 가진 대림건설 1대주주, 경북도·포항시 각 10%씩 보유<br/>대형선사·화주 등 물류전문기업 상대로 협의… 매각대금이 관건

영일만신항만 운영 사업체인 포항영일신항만(주)(PICT)이 회사 매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1992년 기본계획수립으로 시작된 영일만신항만은 어업권 보상과 방파제 건설 그리고 바다 매립과 컨테이너 터미널 조성 등 무려 20여년 에 걸친 공사 끝에 지난 2009년 8월 개항했다. 국비 등 예산만 1조9천365억원(국비 1조5천69억원, 민자 4천296억원)이 투입됐고, 현재도 육상과 항만을 연결하는 동해중부선 인입 철로 등 각종 인프라 공사가 진행중에 있다.

포항 영일신항만은 대림건설이 29%로 1대 주주며 포스코건설과 코오롱건설 등 국내 6개 건설사와 경북도와 포항시(각각 10%씩 지분보유)가 주주사로 참여한 민자 국제컨테이너 항만으로 포항영일신항만(주)이 운영하고 있다.

개항 당시 ‘제2의 영일만기적’ 역할을 할 것이라며 희망에 부풀었던 영일만신항만은 기대와 달리 북방교역이 지지부진한데다 경쟁력에 있어 부산항 등 타 항만에 비해 상대적으로 뒤처지면서 물동량 부족에다 이용률 저조를 지속적으로 겪어왔다.

PICT는 그동안 선사유치 등 각종 경영개선 노력을 통해 돌파구 마련을 시도했음 에도 불구, 어려움은 해소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적자 누적으로 회사 자본금 780억 원은 이미 오래전에 소진됐다. 현재 금융권 차입금도 350여 억원대에 달하고 있다. 채무는 매년 증가일로에 있다. 경영난이 심각해지자 해양수산부가 지난 2019년부터 2059년까지 40년간 1천104억원(연 27.6억원)의 직접적인 지원을 하기로 했으며 경북도와 포항시도 연간 25억원 내외에서 선사와 화주들에게 인센티브 지급 등 간접적인 지원을 해주고는 있다. 그러나 여전히 경영 개선은 되지 않고 있다. 향후 여건도 북방교역의 중심이 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에다 미국과 중국의 갈등 등으로 불투명한 실정이다

상황이 여의치 않자 대림건설 등 6개 민간참여기업들은 최근 대형선사 또는 화주 등 물류전문기업들을 대상으로 매각 논의를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협상 대상 중에는 포스코 자회사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진다.

관련 기업의 한 관계자는 “몇몇 물류회사 등과 협의를 했으나 매각대금 이견으로 성사되지 못했다”면서 현재 다각도로 매각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관건은 350여 억원에 달하는 부채”라면서 이 문제가 조정돼 정리되면 매각은 급물살을 탈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경북도와 포항시는 항만의 특성상 대형선사 또는 화주 등 물류전문기업이 PICT를 인수하는 것에 대해선 일단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경북도와 포항시 관계자는 “민간기업의 의사결정이라 관여할만한 입장은 아니지만 진행과정을 듣고 있다”며 도와 시는 “지분을 매각하지 않고 앞으로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항만 활성화 계획을 수립, 대구 경북의 관문으로 활용한다는 것은 변함없는 방침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영일만신항만 관계자는 “당사 및 당사의 주주사들은 현재 대형선사 또는 물류전문 기업 등을 대상으로 지분매각 등의 논의를 진행 중인 사항은 없다”며 “당사가 당초 계획된 지역 거점항만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현재 처해있는 경영상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정상화 방안을 강구하고 있음을 알려 드린다”고 밝혔다.

/이시라기자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