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스마트어업 전환, 소득 5만불 조기 실현

이창훈기자
등록일 2023-04-02 20:02 게재일 2023-04-03 2면
스크랩버튼
경북도수산자원연 10개년 계획<br/>고부가 선호품종 전략적 조성<br/>기능성 수산식품 개발·상품화<br/>RAS 활용 완전양식 기술 도입
경도가 스마트 연구중심의 수산자원 어업대전환을 선언했다.

경북도 수산자원연구원은 2일 어업 대전환을 통한 미래성장 동력 창출을 위한 청사진인 ‘수산자원 연구개발 종합계획(10개년, 2023 ~ 2032년)’을 발표했다.


주요 골자는 동해 특화 전략품종 개발에 다소 미흡했던 과제를 보완·분석해 동해안 자원회복 사업의 조기 실현, 연구개발 중심의 인력 재편과 기능 보강을 통해 스마트 순환여과양식시스템(RAS)을 활용한 완전양식기술 개발 및 해산식물(미세조류 포함) 관련 시험연구 사업을 추진하는 내용이다.


5대 전략별 주요 내용은 어업인 소득을 증대하는 경제성 품종개발 및 자원회복, 내수면 수산자원 조성 및 멸종위기 종(種) 보존, 소비자 중심 고부가 품종 개발 및 기능성 수산식품 개발, 산업화 조기 실현 스마트 양식기술 개발 및 보급이다.


우선, 고부가 선호 품종의 전략적 자원 조성으로 소득 5만불 조기 실현과 함께 동해안 살오징어, 연안 정착성 어종(전복, 해삼 등) 및 가자미류(문치가자미, 참가자미 등) 대량방류를 통한 실효적 자원회복 사업의 상용화 방안을 모색한다.


내수면 자원조성과 멸종위기 종(種) 보존을 통한 내수면 어업 활성화와 고급 관상어 개발 및 상품화를 통한 어업 경제성 제고로 청년인재 유입과 관련 산업의 다각화에 집중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


소비자 맞춤형 품종(연어류) 및 수산식품 개발, 수산물 요리경연대회 개최 등 내수면 어업 관련 산업 활성화와 가공식품 시제품 개발 및 상품화를 통한 창업지원·기술이전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저탄소 해양환경 보존을 통한 지속이용 가능한 수산자원 조성과 탄소 중립화 실천을 위한 미세조류 관련 시험연구 및 양어 수경재배(아쿠아포닉스) 등 친환경 응용기술 개발에 역점을 둔다.


기르는 어업으로의 패러다임 전환과 양식 산업화 조기 실현을 위해 스마트 순환여과양식시스템(RAS) 육성기술 개발 및 최적의 사육관리 매뉴얼 발간 등 양어 기술 보급 사업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경북도는 이번 종합계획을 통해 동해안 친환경 수산자원의 고급 브랜드화와 내수면 어업의 산업화로 소득 증대, 일자리 창출 및 청년인재 유입 등 체감할 수 있는 경제적 성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중권 경북도 환동해지역본부장은 “수산자원 연구개발 종합계획을 통해 경북 수산자원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지속이용 가능한 경제성 수산자원 조성을 통해 어업 대전환의 시대적 책무에 집중해 차질 없이 세부 과제들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