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 신설·채용’ 잇단 업무협약 <br/> DGIST·삼성전자, 학·석사 5년제 ‘반도체 계약학과’ 설치<br/> 포스코퓨처엠·연세대, 석·박사 ‘e-Battery Track’ 운영
미래 핵심 신성장 산업인 반도체·배터리분야에 필요한 맞춤형 인력 육성을 위해 관련 기업과 대학이 손을 잡고 관련학과 설치 등 적극적인 산학협력에 나섰다.
날로 거세지는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선 국가전략산업인 반도체와 배터리 분야에서 핵심인재 양성은 절실한 과제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이하 3개 과학기술원)은 27일 대학본부 컨벤션홀에서 삼성전자 남석우·김완표 사장, DGIST 국양 총장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반도체 공정 전문 기술인력 양성을 위해 ‘반도체 계약학과 설치 및 운영’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DGIST는 학·석사 5년제 통합 과정으로 반도체 계약학과를 운영하며, 2024년부터 2028년까지 매년 30명의 신입생을 선발할 예정이다. 인력 육성 상황에 따라 연장도 가능하다. 아울러 학위 수여자 중 장학생으로 선발돼 삼성전자에 채용된 학생은 반도체 공정 전문 인력으로 양성된다.
이로써 삼성전자와 채용조건형 반도체 관련 학과를 신설해 운영하는 학교는 성균관대, 연세대, 카이스트, 포스텍에 이어 DGIST, GIST, UNIST까지 7개 학교로 늘었다.
DGIST 국양 총장은 “국내 최고 수준의 DGIST 반도체 연구 및 교육 인프라를 활용해 현장에서 반도체 기술 혁신을 선도해 나갈 수 있는 글로벌 반도체 전문가로 양성해 나갈 예정”이라며 “나아가 대구시와 DGIST가 반도체 설계부터 분석까지 진행 가능한 ‘D-FAB’ 구축을 위해 협업하고 있는 만큼, DGIST의 반도체 전문가가 지역 경제와 신산업 창출의 기반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배터리소재 전문 생산업체인 포스코퓨처엠(구 포스코케미칼)도 배터리소재 우수 인재 확보를 위해 같은날 연세대와 ‘e-Battery Track’ 협약을 체결했다. 연세대 제1공학관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포스코퓨처엠 김준형 사장과 연세대 명재민 공대학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포스코퓨처엠은 올 하반기부터 연세대에 배터리소재 석·박사 과정 ‘e-Battery Track’을 운영한다. 선발된 학생들은 학위 과정 중 사업현장을 방문하고 공동연구 과제를 수행하는 등 실질적인 산학협력활동을 실시하고, 등록금과 장학금을 지원 받는다. 이 과정 졸업생은 포스코퓨처엠 연구개발 및 기술 인력으로 채용한다.
포스코퓨처엠이 우수 인재 확보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은, 전기차 및 배터리 시장이 매년 30% 수준으로 고속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세계시장을 지속 선도하기 위해서는 이를 뒷받침할 인력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포스코퓨처엠은 지난 해부터 포스텍(POSTECH)을 비롯해 울산과학기술원(UNIST), 한양대,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등 국내 대표 교육기관들과 배터리소재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e-Battery Track’ 협약을 지속 추진해 오고 있다.
김준형 포스코퓨처엠 사장은 “글로벌 탑티어 연구경쟁력을 뒷받침할 우수 인력 확보에 전사적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며 “e-Battery Track에 선발된 학생들을 적극 지원해 배터리 산업의 글로벌 핵심 인재로 양성하고 국가 기술경쟁력 확보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
/이부용기자 lby123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