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인구정책 기본계획’ 발표<br/>‘미래사회 준비, 재창조’ 비전 제시<br/> 5대 전략·14대 중점 분야 선정<br/> 세부사업 130건 1천300억 투입
[구미] 구미시가 올해 41만 인구 회복 원년의 해로 정하고 인구 늘리기 정책을 대대적으로 추진한다.
방주문 미래도시기획실장은 22일 시청 상황실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2023 구미시 인구정책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미래사회 준비, 구미재창조’를 올해 인구정책 비전으로 제시했다.
그는 “인구 감소세 완화와 V턴 반등을 위한 ‘도시 재창조 프로젝트’, 생활인구 확대와 미래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을 위한 ‘미래사회 준비 프로젝트’, 이를 뒷받침 하기 위한 ‘인구대응 행정혁신 프로젝트’등 3대 프로젝트와 5대 전략, 14대 중점 분야를 선정하고 총 130여 건의 세부사업과 1천300여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구미시의 이번 인구정책 기본계획은 청년인구 회복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최근 급속도로 감소하고 있는 청년인구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구미시는 우선 학업·취업·창업을 연계해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청년 자립·정착기반 강화와 청년지원센터 구축 등 청년이 주도하는 거버넌스 플랫폼을 구축해 ‘청년중심 매력도시’를 만들어 갈 방침이다.
또 ‘365 소아청소년 진료센터’의 다음 단계로 현재 19개소 운영 중인 야간연장 보육시설을 2배 이상 늘리는 등 ‘구미형 365 우리아이케어’를 구축한다.
여기에 구미의 오랜 숙원인 명문학교 육성을 위한 T/F팀을 가동해 기존 지역소재 초·중·고를 특화하고, 국제학교 유치를 추진하는 등 ‘아이중심 인재도시’로 재창조한다.
구미시는 늘어나는 고령인구를 위한 ‘미래사회 준비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신중년의 일자리를 늘리고 존엄한 노년기 삶을 보장하는 ‘능동적인 신중년 시대’를 위해 귀농귀촌 지원센터 설치, 귀농인 농촌생활 지원사업 등 귀농귀촌의 기반을 조성한다.
인구감소를 완화하기 위한 ‘인구대응 행정혁신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전입지원품 지급, 1년간 공영주차장 무료이용권 지급 등의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구미시 주소 갖기 운동을 추진하고, 구미시민만이 누릴 수 있는 우대제도를 강화한다. 구미지역 기업과 근로자에 대한 지원사업도 늘리고, 공항배후도시 준비를 위한 도시개발 사업으로 유입인구에 대한 정착 기반을 만든다.
민선 8기 출범 이후부터 인구회복을 모든 정책의 최우선 목표로 하고 있는 구미시는 지난해 12월 청년의 권익증진과 사회 참여 확대를 위해 ‘구미시 청년 기본 조례’를 전면 개정했다. 이어 올해 1월에는 인구청년과를 신설하고, ‘구미시 인구증가 시책 지원 조례’를 마련해 인구위기 관리를 위한 선제적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
한편, 구미시의 인구는 2018년 42만1천494명이던 것이 2019년 41만9천742명으로 줄어들기 시작해 작년에는 40만8천110명으로 감소했다.
/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