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정치·경제 협력 물꼬”<br/>히로시마 G7회의 尹 초청 조율
대통령실이 윤석열 대통령의 ‘방일 성과’ 띄우기에 나섰다. 굴욕 외교 등 국내의 비판적인 여론을 의식해 여론전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대통령실은 19일 윤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총리의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 “한일 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전환하는 출발점이 됐다”고 평가했다.
대통령실 이도운 대변인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외교라는 것이 상대방의 마음을 열고 양자 또는 다자 관계에서 판을 바꾸는 것이라면 이번 윤 대통령의 방일 외교는 커다란 성공”이라며 “정치권, 경제·산업계 간에, 특히 미래세대 간에 새로운 협력의 물꼬가 트였다는 게 일반적 평가”라고 자평했다.
이 대변인은 대통령 일행이 묵은 도쿄 시내 호텔 직원과 주민들, 하네다공항 직원들이 이례적으로 박수 세례를 보낸 것을 소개하며 “이 정도면 일본인 마음을 여는 데 어느 정도 성공했지 않나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일본 방문은 단 이틀이었지만 한국 정부가 한일관계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한 위치가 됐고, 국제관계에서도 주도적 위치를 차지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됐다. 한일 양자관계에서 보기 드물게 양국 여론이 일치하는 분위기가 형성됐다”며 “국제사회에서 윤 대통령의 결단을 높이 평가하면서 기시다 총리가 호응하면 한반도와 국제 정세에도 큰 변화가 있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고도 했다.
야당이 ‘숭일(일본을 숭배한다) 외교’라고 비판한 데 대해선 “국내에서 이번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 비판적 여론이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정부 정책에 대한 비판은 야당이 해야 하는 역할이고 존중한다”면서도 “그런데 어제 오늘 (야당의) 비판을 보면 아쉽거나 실망스럽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역사의 큰 흐름이나 국제질서의 판을 읽지 못하고 지엽적 문제를 제기하거나 과도한 용어를 동원해 정치적 쟁점을 만드는 게 아니냐는 (국민적) 우려도 있다”며 “야당 측에서 연구 분석을 통해 국민 이익과 미래세대 이익을 위해 비판한다면 조금 더 생산적인 논의가 이뤄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기시다 총리가 5월 19∼21일 열리는 히로시마 주요 7개국(G7) 회의에 윤 대통령을 초청할 지 여부를 최종적으로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징용공(用工·일제 강제징용 노동자의 일본식 표현) 소송 문제에서 해법을 제시한 한국의 윤석열 대통령도 초청하는 방향으로 최종 조율 중이다. /박형남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