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 지역콘텐츠활성화연구회<br/>정책사례 연구용역 최종보고회<br/>청년인구 유입 활성화 방안 제시
경북도의회는 지방소멸 대응과 지역 활성화를 위해 지역형 콘텐츠와 로컬크리에이터 육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경북도의회 ‘지역콘텐츠활성화연구회’(대표 이선희 의원·청도)는 지난 14일 도의회 다목적실에서 ‘지역형 콘텐츠를 활용한 국내외 정책사례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용역을 수행한 (주)현리서치앤컨설팅(대표 조재근)은 지역 콘텐츠를 활용한 지역 청년인구 유입을 위해 콘텐츠 활성화 추진전략으로 4대 전략 방향과 8대 대표 과제를 제언했다.
4대전략은 매력있는 지역관광 콘텐츠 발굴 및 개발, 물리적·심리적 접근성 개선, 인적·물적 민간부문 경쟁력 강화, 지속가능한 관광인프라 구축을 제시했다.
8대과제는 경북 대표 프로그램 발굴 및 홍보, 해외 관광객 대상 특화 프로그램 개발, 빅데이터·AI기반 개인 맞춤형 프로그램 추천, 도농연계형 관광 및 정착지원 사업 추진, 관광지원기관 및 관광 지원 민간기업 유치, 기회발전특구연계 경북특화 관광단지조성, 생활인구 확대를 위한 통합지역마케팅 전략, 1만 경북 로컬크리에이터 양성 및 지원이다.
최종보고에 대한 토론에서 강만수 의원(성주)은 “지역의 콘텐츠 개발과 지원을 통해 전입된 청년이 지원사업의 종료 후 다시 지역을 떠나는 상황에 대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언급했고, 김대진 의원(안동)은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메타버스와 인공지능 같은 새로운 영역과의 결합을 통한 지역 콘텐츠 연계에 대해서도 고민하고 새로운 대안을 마련해야 할 때”라고 정책적 견해를 제시했다.
이선희 연구단체 대표의원은 “이번 연구용역을 통해 제안된 사업들을 사례 중심으로 고민하고 실현가능성을 현장 중심으로 꼼꼼하게 살펴, 향후 지역형 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기반구축이 될 수 있도록 로컬크리에이터육성 관련 조례 제정을 적극 검토하는 등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한 의지를 밝혔다.
‘지역콘텐츠활성화연구회’는 경북의 콘텐츠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와 분석을 통해 지역의 맞춤형 콘텐츠 정책을 연구하고자 결성된 경상북도의회 의원연구단체다. /이창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