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천하람 상승세… 金·安 양강구도 ‘출렁’

김영태기자
등록일 2023-03-02 20:18 게재일 2023-03-03 1면
스크랩버튼
국힘 全大 대구경북 표심 향배<br/>千, 두 후보와 접전 결과까지 등장<br/>2년 새 당원 급증… 예측불허 상황

5일 앞으로 다가온 국민의힘 전당대회에 대구·경북지역 당원의 표심의 향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당 대표 선거 초반에는 김기현·안철수 후보가 양강구도를 형성했으나 최근 들어 천하람 후보가 파고들며 판세가 요동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관련기사 3면>

2일 국민의힘 대구·경북 시도당과 지역 정가 등에 따르면 최근 일부 여론조사에서 양강구도를 형성하고 있는 김기현·안철수 후보에 이어 천 후보가 두 후보와 접전하는 결과까지 등장하면서 표심의 향배가 예측불허의 상태로 치닫고 있다. 이는 최근 2년 사이 급증한 당원들의 표가 어느 후보에게 향할지 쉽게 점칠 수도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여기에다‘양강구도’를 파고드는 천 후보의 바람이 예상보다 더 셀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예측불허의 상황이 전개될 수 있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민심을 바탕으로 한 천 후보의 상승세가 ‘조직선거’ 영향력이 약해진 당내 여론을 뒤흔들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그동안 대구·경북을 포함한 영남권 선거인단이 과반을 차지했지만, 현재는 영남권이 39.67%로 영향력이 떨어져 텃밭의 의미가 상당히 희석됐다. 이어 2030세대들이 급격히 증가한 수도권이 37.7%로 영남권과 비슷한 규모를 지니고 있어 이들 지역 당원들의 표심이 어디로 향하느냐에 따라 이번 전당대회 결과도 달라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심지어 대구·경북지역도 최근 2년여 동안 영남대, 경북대, 대구대 등 대학생 당원을 비롯한 2030세대 당원이 급증했다. 이들의 표 향배는 기존 정치권에서 가늠할 수 없는 상태로 알려지면서 이같은 견해에 설득력을 더하고 있다.

이에 지역 정가 일각에서는 결선투표까지 진행될 경우 1차전 1위 득표자의 확장성보다는, 2위 득표자에게로 쏠림현상을 보였던 역대 당대표 선거를 감안하면 안 철수 후보의 승리를 점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반면, 또다른 일각에서는 과반에 가까운 득표를 보인 김기현 후보가 앞으로 남은 기간 꾸준히 세 결집을 통해 선거전을 펼친다면 1차 투표에서 과반득표로 끝날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온다.

이같이 엇갈린 분석은 이번 전당대회가 당헌 개정으로 일반 국민여론조사를 배제한 100% 당원 표만으로 당 지도부를 구성하지만, 과거처럼 지역구 국회의원들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하는 ‘조직선거’가 원활치 못한데 있다. 수도권의 경우 이른바 ‘오더’가 내려오더라도 당원 투표율이 30%, 득표율이 60%도 안됐다는 사실이 이를 반증하는 셈이다.

지난 2021년 이준석 전 대표가 선출됐을 당시 국민의힘 전당대회 선거인단은 책임당원 28만 명을 포함한 33만 명이었지만, 이번 전당대회에는 책임당원 78만여 명을 비롯해 모두 84만 명에 달해 과거보다 50만 명이 넘게 늘어났다.

이에 따라 이번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는 1차 투표에서 과반수 득표자가 나오지 않고 결선투표까지 갈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김영태기자 piuskk@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