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공항은 지난 1970년 기존 군 공항에 민항시설을 설치해 아시아나와 대한항공이 취항했었지만, 경영적자로 운영을 중단했다. 그러다가 지난 2020년부터 (주)진에어에서 제주와 김포간 2개 노선을 운항하고 있으나 KTX 개통(2010년 신경주역, 2015년 포항역)과 코로나 사태를 겪으면서 이용객이 저조한 실정이다.
진에어는 지난해 4월부터 운항편수를 하루 2왕복(4편)으로 늘렸지만, 탑승률이 저조하자 7개월 후인 11월부터 다시 운항편수를 1왕복으로 줄였다. 해당 노선의 탑승률은 현재 30∼40% 수준으로, 주말을 제외하면 상당히 저조하다. 김포 노선의 2021년 평균 탑승률은 38%다. 제주 노선의 평균 탑승률은 2021년 48.3%였다가 지난해는 65.0%로 증가해 좀 나은 편이다. 인근의 대구공항이나 울산공항 제주노선과 비교하면 10∼15% 정도 낮은 수치다.
포항과 경주는 지금 도시경쟁력 제고를 위해 세계와 소통하는 하늘길 확보가 필수적이다. 포항시는 바이오와 이차전지산업의 글로벌 거점도시로 성장하고 있고, 경주도 2025년 APEC정상회의 유치전에 뛰어드는 등 세계적 관광도시로서의 이미지를 굳혀가고 있다. 도시성장이 가속도를 내려면 공항활성화는 꼭 필요하다. 항공노선을 확보하는 것이 쉽지는 않지만, 기존 노선 외에 여수와 광주를 운항하는 노선 등도 적극적으로 개척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