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동해안시대의 관건은 포항경주공항 활성화

등록일 2023-02-27 19:41 게재일 2023-02-28 19면
스크랩버튼
경북도내에서 현재 유일하게 운영되고 있는 포항경주공항이 침체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해 걱정이다. 경북도는 지난 2021년 6월부터 포항과 경주지역 행정기관과 대학, 기업 관계자로 구성된 ‘포항공항 활성화 협의체’를 가동하면서 공항 이용객 유치를 위해 애써왔다. 협의체에서는 그동안 공항 명칭변경, 공항과 주변 관광지 연계 아이디어 발굴, 공항 접근성 강화 등의 과제를 수행해왔다. 공항명칭변경은 포항시와 경주시의 합의를 거쳐 공항운영자인 한국공항공사에 신청해서 지난해 7월 14일 이뤄졌으며, 공항과 보문관광단지를 잇는 최단거리 도로(경주 강동~보문) 확장사업도 본격 추진되고 있다.

포항공항은 지난 1970년 기존 군 공항에 민항시설을 설치해 아시아나와 대한항공이 취항했었지만, 경영적자로 운영을 중단했다. 그러다가 지난 2020년부터 (주)진에어에서 제주와 김포간 2개 노선을 운항하고 있으나 KTX 개통(2010년 신경주역, 2015년 포항역)과 코로나 사태를 겪으면서 이용객이 저조한 실정이다.

진에어는 지난해 4월부터 운항편수를 하루 2왕복(4편)으로 늘렸지만, 탑승률이 저조하자 7개월 후인 11월부터 다시 운항편수를 1왕복으로 줄였다. 해당 노선의 탑승률은 현재 30∼40% 수준으로, 주말을 제외하면 상당히 저조하다. 김포 노선의 2021년 평균 탑승률은 38%다. 제주 노선의 평균 탑승률은 2021년 48.3%였다가 지난해는 65.0%로 증가해 좀 나은 편이다. 인근의 대구공항이나 울산공항 제주노선과 비교하면 10∼15% 정도 낮은 수치다.

포항과 경주는 지금 도시경쟁력 제고를 위해 세계와 소통하는 하늘길 확보가 필수적이다. 포항시는 바이오와 이차전지산업의 글로벌 거점도시로 성장하고 있고, 경주도 2025년 APEC정상회의 유치전에 뛰어드는 등 세계적 관광도시로서의 이미지를 굳혀가고 있다. 도시성장이 가속도를 내려면 공항활성화는 꼭 필요하다. 항공노선을 확보하는 것이 쉽지는 않지만, 기존 노선 외에 여수와 광주를 운항하는 노선 등도 적극적으로 개척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노병철의 요지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