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구채 끝에서 노랫가락이 춤을 춘다. 그 춤은 휘어졌다가 슬금슬금 바닥을 기다 요동치듯 솟구치기를 반복한다. 대숲 바람이 몰아치는 어두운 창밖에는 첫눈이 내리고 촌락의 따뜻한 작은 방은 흥으로 그득하다. 두레밥상 위에는 반쯤 남은 막걸리의 잔이 가늘게 떨리고 나는 숨죽여 손가락 장단을 맞추고 있다.
퇴근 후, 차를 몰고 밤길을 달렸다. 산 중에 대숲으로 둘러쳐진 친구의 친정집은 우리의 놀이터다. 부모님이 돌아가신 후 그 집은 늘 비어 있어, 이른 봄이면 막 연초록의 키를 키우기 시작하는 앞산을 보며 수다를 떨기에 그만이다.
여름 낮에는 다슬기를 잡고, 밤이면 마당에 나와 별을 센다. 가을이면 뒷담을 기대선 늙은 감나무가 궁금하고 오늘 같은 겨울에는 따뜻한 방바닥이 그리워 찾아가는 곳이다. 출발할 때부터 눈발이 흩날리더니 저수지를 지날 무렵에는 안개까지 자욱해 한 치 앞이 보이지 않았다.
당산나무를 지나 마을길로 들어서자 멀리서 대숲 바람이 먼저 맞이한다. 경로당 앞에 차를 세우고 언덕에 누워계시는 친구의 부모님께 눈으로 인사를 했다. 얼마 전까지 장구 장단에 어깨춤을 추시던 구순의 동네 할아버지도 그 옆에 자리를 잡았다. 한 친구가 미주구리가 제철이라고 하는 말에 급조된 만남이다. 오늘은 집주인인 친구가 소리 선생님을 모시고 왔다는 소식에 걸음이 바쁘다. 어떤 분이실까 궁금증이 먼저 마당을 들어섰다. 방문을 와락 열고 들어서자 매번 만났던 냥 전혀 낯설지가 않다.
작은 두레밥상에는 미주구리 무침에, 익어가는 김장김치가 막걸리를 유혹하고 있다. 두어 잔이 오르내리자 우리는 소리가 담긴 술을 마시고 싶다는 말을 조심스레 건넸다. 선생님이 방 한 귀퉁이에 있는 장구를 끌어당겨 따 닥 장구를 두드렸다. 제자인 친구에게 노래를 부르라고 하자 우리는 매번 듣는 소리가 아닌 명창의 가락을 듣고 싶다며 졸라댔다. 따다닥 딱딱 쿵 딱. 소리가 장구를 껴안듯이 착 달라붙었다. 장구 장단에 맞춰 노래가 흘러나왔다.
눈을 깔고 두레밥상에 손가락으로 박자를 맞추며 노래에 젖어들었다. 그녀의 손짓에 따라 노래가 친구에게로 넘어가고 노랫가락은 끝없이 이어졌다.
매끄럽게 넘어가는 친구의 음률 따라 은근슬쩍 우리의 거친 목소리도 끼워 넣었다. 얼쑤! 선생님의 추임새에 신명이 올라 목소리는 점점 더 커져갔다.
‘차르르’ 뒷곁에 대숲 바람이 분다. 바람은 집을 한 바퀴 돌아가고, 박자를 맞추듯이 그 사이로 ‘따그락따 딱딱’ 다른 소리가 들린다. 친구는 댓잎 바람의 마지막에 따라가는 것은 죽은 대나무가 내는 소리라고 했다. 그들도 따라 장단을 보태어 흥겨운 노래판이 되었다. 막걸리 몇 잔에 우리의 흥은 어깨까지 오르고, 장구 장단에 눈발은 허공에서 춤을 춘다. 산골의 동짓날 밤은 그렇게 깊어가고 있다.
장구 장단을 멈춘 선생님이 우리를 다시 찬찬히 둘러보았다.
“아이고 얄구재라, 가만히 보면 전혀 다른 사람들이구마는 어째, 하나 같이 똑 같을고. 앞으로 나도 이 모임에 끼워 줄거라?”
우리는 손바닥을 쫙 펴고 독수리 오형제가 된 것을 선포했다.
권주가를 부르며 다시 또 막걸리 잔을 부딪쳤다. 허공에 그려지는 장구채의 그림과 맺고 끊는 장구 장단에 따라 우리의 가락도 달라져 갔다. 역시 고수였다. 나는 장구 장단에 노래가 따라간다고 생각했는데 부르면 부를수록 그게 아니었다. 장구가 노래를 받쳐주고 있었다. 노래를 잘하는 친구와는 달리 우리의 노래는 원곡과는 상관없이 엿가락처럼 늘어졌다가 튕겨 올라붙었지만, ‘촤르르’ ‘따그락따 딱딱’ 댓숲 바람이 사이사이를 채워주었다.
밤은 깊어가고 마을은 어둠에 잠긴다. 작은 방에 언니 동생 옹기종기 한 이불을 덮어쓰고 누웠던 어린 시절처럼 따끈한 바닥에 이불을 깔고 누웠다.
내일 아침이면 잰걸음으로 출근을 해야 하지만, 만날 때마다 그랬듯이 누구 하나 쉬 잠들지 못한다. 흥얼흥얼 다하지 못한 노래가 나지막이 깔리더니 방안은 조용해지고, 대숲도 잠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