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묘년 새해가 밝았다. 큰 기쁜 소식이 들려온다. 영일만대교 청신호이다. 섣불리 동해안 시대가 열리겠구나 하는 희망으로 설렌다. 인류 문명사 5만년을 거스르고, 동해물이 마르고 닳도록 영일만의 기슭에 검푸른 먼동이 튼다.
지난달 27일 호미반도 해양생태공원조성사업이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으로 선정되고, 이에 앞서 세계적인 기업 테슬라(Tesla)의 포항 유치 가능성도 언론에 회자되고 있다. 또한 미래 성장 동력인 코리포항(한미약품)이 경제자유구역에 신약 생산의 보금자리를 틀었다. 단비 같은 소식들이다.
더욱이 온 시민들이 하나 되어 그동안 얼마나 염원 했던가? 영일만대교 설계비 50억원이 올해 예산에 반영된 것이다. 이는 동해안 최대 숙원인 영일만대교 건설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영일만대교의 위상을 생각해 본다.
삼국유사의 연오랑 세오녀 설화는 고대 태양신화의 한 원형으로 여겨진다. 일찍이 육당 최남선은 가장 해가 먼저 뜨는 호미곶이 천하의 명당이라 했다. 호미곶을 품고 있는 해를 가장 먼저 맞이하는 영일만(迎日灣)의 기세가 전국에 이른다 할 것이다. 이러한 포항이 먹고 살 수 있는 미래 먹거리는 과연 무엇일까?
그동안 포항은 철강산업도시로 성장해 왔다. 철강산업의 사양화는 탄소중립과 환경문제 등으로 미국에서도 러스트벨트(Rustbelt)와 선벨트(Sunbelt)가 선거 공약으로 나올 지경이 되었다. 러스트벨트는 철강산업의 메카였던 피츠버그와 필라델피아의 사양화된 지역을 일컫는 것이다. 철강산업의 하이테크(Hightech)화는 우리 포항의 지속적인 과제이다.
포스텍을 중심으로 한 R&D는 미래 포항의 희망이다. 영일만의 천연적인 환경조건이 영일만항의 컨테이너 부두를 가능하게 했다. 우리는 그동안 동해안시대를 대비해서 포항~대구 고속도로, KTX는 물론 영일만배후산업도로 및 철로 등 그 기반을 힘차게 준비해 왔다. 해양관광도시 포항의 실현은 영일만의 위상, 그 자체이다. 호미반도 해양생태공원조성은 물론 그 한가운데 랜드마크(Land Mark)로 영일만대교가 있는 것이다.
그동안 L자형 국토개발 전략으로 동해안은 남해와 서해에 비해 지나치게 낙후되어 버렸다. 지난 2003년 국가균형발전을 이루고자 지역발전특별법이 제정된 바 있다. 국가균형발전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영일만대교는 그동안 재정부담의 이유로 사업 추진이 답보 상태에 있었다.
늦었지만 동해안고속도로의 가시적인 건설을 크게 환영하는 바이다. 영일만대교는 동해안의 랜드마크가 될 것임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인천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다리로 바다 위의 하이웨이라는 인천대교가 인천국제공항 위상과 함께 세계적인 명소로 거듭나고 있고, 부산에는 해운대와 함께 불꽃 축제로 유명세를 타고 있는 다이아몬드 브리지인 광안대교가 있다. 태평양의 관문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세계 최초 현수교인 금문교는 가보지 않고는 세계적 관광지에 대한 얘기를 할 수 없다. 런던 브리지는 유럽 여행의 필수 코스로 런던의 랜드마크이다. 모두 지역을 상징하는 관광명소로서 지역민의 삶을 부유하게 함은 물론 역사적 위상과 자긍심도 갖게 한다.
동해안에는 영일만이 대교를 건설할 수 있는 지리적 특수성을 갖고 있다. 그동안 윤석열 대통령이 영일만대교 건설을 대선공약으로 했고, 당선 이후에도 직접 포항을 방문하는 등 사업추진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영일만대교는 환동해 물류교통의 중심지가 되고 관광 등에 획기적인 기여로, 제2의 영일만 기적을 가져 오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 한참 건설 중인 동해안고속도로는 영일만을 비켜 갈 수 없는 숙명의 과제를 안고 있다 할 것이다.
영일만은 부산에서 삼척에 이르는 동해안고속도로 중간 허리 부근에 있다. 동해안고속도로가 영일만을 횡단하지 않으면 결국 포항 시가지를 우회하게 되는데 임시방편으로 국도대체우회도로를 겸용하거나, 새로운 우회 고속도로를 건설한다면, 포항은 이 고속도로로 인하여 또다시 시가지가 두 동강이 나버린다. 영일만을 횡단하는 노선으로 하는 영일만대교는 시가지 간선도로의 만성 교통체증을 해소할 수 있고, 블루밸리 산단과 영일만산단은 물론, 남구와 북구를 이어줌으로써 토지의 이용 가치는 숫자로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크다 할 것이다.
정치권과 행정당국에서 이러한 영일만대교의 위상을 헤아려야 할 것이다. 영일만대교의 건설은 본격적인 동해안 시대의 서막을 예고한다. 중국의 동북 3성의 인구가 1억5천만명이 넘는다. 특히 길림성과 흑룡강성은 바다가 없다. 이들이 대량의 물류를 수송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항만이 필요하다.
중국이 그동안 이를 해소하기 위해 북한의 나진과 선봉을 평양시 다음으로 특별시로 승격토록 노력했다고 한다. 나진항 부두를 중국의 코스코사에서 장기간 조차를 했다고도 한다. 모두 동해안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영일만대교는 대기만성으로 동해안시대의 화룡점정으로 거듭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