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문화 지체’와 ‘성장의 한계’

등록일 2022-12-18 19:54 게재일 2022-12-19 18면
스크랩버튼
이정희위덕대 교수·일본언어문화학과
이정희위덕대 교수·일본언어문화학과

최근 ‘문화 지체’와 ‘성장의 한계’라는 개념 탐구에 빠져있다. 그렇다고 해서 이 두 용어가 완전히 신개념의 새로운 용어가 아니다. ‘문화 지체’는 미국의 사회학자 W.F.오그번의 1922년 저서 ‘사회변동론’에서 처음 언급한 이론이다. 설명을 살펴보면, 비물질문화가 물질문화를 따라잡지 못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여기서 물질문화는 주로 과학 기술의 발달을 말하고, 비물질문화는 인간의 생활방식에서부터 각종 제도적인 면, 그리고 인간의 정신적인 부분까지 아우른다. 쉽게 말하자면, 예를 들어 자동차의 개발과 보급은 자동차공업의 발달과 함께 빠른 속도로 발전해나가는 반면, 자동차와 관련된 우리의 교통 질서의식이나 그에 따른 제도 확립 등이 갖추어지기까지는 훨씬 더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화 지체로 인해 발생하는 예기치 못한 사건들은 이제는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아파트라는 주거형태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층간 소음 분쟁도 문화 지체 현상으로 볼 수 있으며, 이태원참사 역시 문화 지체 현상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문화 지체 현상은 인간의 존엄성을 경시하기에 이른 것이다.

‘성장의 한계’는 1990년대 일본 유학시절에 읽었던 책으로 당시에는 빗나간 예측에 우울한 예언서 정도로 일축해 버려 기억 속에서 사라져버렸다. 그런데 최근 원폭문학이나 재난문학 등의 생태문학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성장의 한계’책을 구입해서 다시 읽어보았다. ‘성장의 한계’는 1972년 로마클럽이라는 민간단체가 당시 전 세계를 감싸고 있는 여러 우려되는 상황들을 문제 제기해서 연구한 것으로, 출판되자마자 베스트셀러가 된 책이다. 인구 폭발, 식량 생산, 공업화, 환경 문제, 천연자원의 고갈 등의 주제로 인류 위기에 관한 프로젝트 보고서이다.

다시 읽어본 ‘성장의 한계’는 놀라울 정도로 이 시대를 예견하고 있어서 나는 큰 충격에 빠지고 말았다. 더군다나 책이 나온 지 50여 년이 된 이 시점에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전 세계 사회와 경제가 큰 타격을 입었던 팬데믹을 생각해보면 책의 내용에 놀라지 않을 수가 없었다.

‘성장의 한계’의 기준에는 인간의 생태발자국을 측정해서 그것을 지구의 수용능력과 비교하는 것이다. 여기서 생태발자국은 인간에게 자원(곡물, 사료, 목재, 물고기, 도시로 수용된 토지)을 제공하고 지구촌이 배출하는 배기가스(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 위해 필요한 토지 면적을 이른다. 그리고 현재 지구의 사용 가능한 면적을 비교했을 때, 인간의 자원 사용량은 지구의 수용 능력보다 20퍼센트를 초과한 상태라고 하였다. 그러니까 우리 인간은 너무 많이 지구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는 것이다.

즉, 앞으로 인류가 지속 가능한 세상을 만들려면 인간 전체의 생태발자국을 줄여야만 하는 것이다. 문화 지체에서 오는 불평등과 갈등을 서서히 해소하고, 지구상의 모든 것들을 하나뿐인 이 지구에서 함께 살아갈 동반자로 생각하면서, 인간의 존엄성을 잃지 않고 살아가길 간절히 바랄 뿐이다.

문화와삶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