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보다 1천71억원 증액<br/>역점 시책 25개 과제 추진<br/>물가·민생 안정도 중점 편성
경북도가 코로나19 장기화 및 고령화 농촌인구 감소, 고유가, 물가상승 등으로 침체된 농촌경제를 살리고 농업 대전환을 추진하기 위해 2023년도 농축산유통 분야 예산을 올해보다 1천71억 원 증액(11.5%)된 1조351억 원으로 편성했다. 증액된 1천71억 원 중 국비사업이 880억원(82%)이으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12일 경북도에 따르면 이번 예산은 민선 8기 도정홍보는 물론 농촌의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해 농업농촌의 4차 산업화로 기존 농업정책의 틀을 완전히 바꾸는 경북 농업대전환 사업을 대폭 반영한 것으로, 농업대전환 추진 위원회에서 도출된 역점 시책 사업으로 4개 분야 25개 과제 2천77억 원을 채택했다.
이러한 25개 과제를 이행하기 위해 2023년 예산에 편성된 분야별 주요 사업은 △경북 농정 대전환 사업의 대표 역점시책으로 디지털 혁신 농업타운 사업 29억 원 △지역특화 임대형 스마트 팜 조성사업 79억 원 △청년 농업인 영농정착지원 90억 원 △농산물 산지유통센터 설치지원 83억 원 △초·중·고 무상급식 지원 87억 원 △농촌공간 정비사업 129억 원 등이다. 과수 농가의 농업환경개선을 위해 과실전문 생산단지 기반 조성사업은 193억 원의 예산을 편성했으며, 공익증진 직접 지불제 4천79억 원을 확대해 농업활동을 통해 환경보전, 농촌유지 등의 공익기능 증진과 농업인 소득안정을 도모할 계획이다.
경북도는 또 코로나 19 장기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물가 상승 등으로 고통받는 농민들의 민생안정을 위해 중점적으로 편성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