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 확정<br/>안동, 세계유산·무형·기록 등<br/>지자체 최초그랜드슬램 달성
한국의 탈춤(Talchum, Mask Dance Drama in the Republic of Korea)이 30일 모로코 라바트에서 열린 ‘제17차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에서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유네스코 무형유산보호 정부간위원회 등재 결의안에서 한국의 탈춤은 “무형유산 전체의 중요성에 대한 가시성과 인식을 제고 할 수 있다”며 “인류무형문화유산의 사회적 기능과 문화적 의미가 잘 드러난다”고 평가 받았다.
또한, “과도한 상업화 위험에 대한 대응책도 잘 마련돼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는 데 충분한 조건을 갖췄다”고 인정받았다. 이로써 한국은 2020년 ‘연등회’ 등재에 이어 올해 ‘한국의 탈춤’까지 총 22개 종목의 인류무형문화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이번에 등재된 한국의 탈춤은 ‘하회별신굿탈놀이(국가무형문화재 제69호)’를 포함한 13종목의 국가무형문화재와 ‘예천청단놀음(경북무형문화재 제42호)’을 포함한 5종목의 시도무형문화재로 구성돼 있다. 특히, 하회별신굿탈놀이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면서, 안동은 유네스코 세계유산(하회마을, 봉정사, 도산·병산서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유교책판)과 함께 유네스코 지정 유산 3대 카테고리를 모두 석권한 최초의 지자체가 됐다.
안동시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해 오랜 시간 공을 들였다. 2017년 ‘한국의 탈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추진위원회 발족이 신호탄이 됐다. 2019년 국내대표 목록 신청대상으로 선정돼, 2020년 3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 신청서를 제출했다.
지난 11월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 산하 평가기구 심사에서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권고 판정을 받고, 이번 정부간위원회에서 최종 등재 결정이라는 쾌거를 이뤘다.
고려 시대부터 세대를 거쳐 전승해온 하회별신굿탈놀이는 현존하는 가면극 중에 가장 오래된 문화로 손꼽힌다. 국보 제121호 하회탈을 쓴 등장인물은 배역에 따른 개성이 강해, 한국적인 용모와 표정을 가장 잘 표현하는 국내 대표 탈춤으로 인정받고 있다. 한국적 신앙 역사를 반영한 별신굿이라는 점과 문화적 탈출구의 기능을 갖는 가면극 문화의 대표적 사례이기도 하다. 이번 등재 결정으로 공동체와 상호작용을 통해 만들어진 지식, 문화, 공연예술을 함축하고 있는 하회별신굿탈놀이의 소중한 가치를 다시 한번 인정받은 것이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하회별신굿탈놀이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3개 분야를 등재한 최초의 도시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며 “세계유산의 가치를 국내외에 널리 알리겠다”고 말했다. /피현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