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하수도 정비 중점지 지정<br/>구룡포·대송면·철강공단 등 7곳<br/>빗물 펌프장·우수관로 등 신·증설<br/>펌프장 배수능력 50년 빈도 상향
‘2022년 하수도정비 중점 관리지역’은 환경부가 전국 27개 지자체 58개 지역에 대해 지정 신청을 받고 현장조사 및 선정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침수 피해 발생 정도와 하수도 정비 시급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 후 38곳을 최종 선정했으며, 경북지역은 포항 4곳과 경주 1곳이 지정됐다.
이번에 지정된 포항시 남구 대송면 행정복지센터 인근 및 구룡포읍 일원은 빗물펌프장 2곳이 신설되고, 대송면·송도동·연일읍·철강공단 등에 있는 기존 빗물펌프장은 증설될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포항시는 기존의 펌프장 배수 능력을 20∼30년 빈도에서 50년 빈도로 상향해 대형 태풍 등 기상이변에 대비할 계획이다.
포항시는 올해 하수도 정비 중점 관리지역 선정됨에 따라 향후 국비 880억 원을 확보하고 시비 587억 원 등 총 1천467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먼저, 남구 대송면과 송도동 일원에는 339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빗물펌프장의 20년 설계빈도를 50년으로 증설하고, 6.3㎞에 달하는 우수관로를 신설할 계획이다.
또한 침수 피해가 잦았던 연일읍에도 483억 원을 투입해 연일 빗물펌프장을 50년 빈도로 증설하고, 대송 빗물펌프장 신설과 13.3㎞ 우수관로 신설 및 개량작업에 나설 예정이다.
집중호우 시 침수 피해가 컸던 구룡포읍과 포항철강공단에도 빗물펌프장을 50년 빈도로 신·증설하고, 7.3㎞ 및 6.5㎞에 달하는 우수관로를 각각 신설·개량할 계획이다. 여기는 232억 원과 413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포항시 관계자는 “하수도 정비 중점 관리지역 정비사업의 본격 추진을 위해 2023년 하수도 정비대책 수립 및 실시설계용역을 조기 착수하고, 2024년부터 정비사업을 착공해 2028년까지 사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준혁기자
jhjeon@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