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공단 ‘비상’… 현대제철 출하 8천t 멈췄다

김락현 기자
등록일 2022-11-24 20:03 게재일 2022-11-25 4면
스크랩버튼
화물연대 포항지부 총파업에 구미 등 대규모 물류 차질 현실화<br/>장기화땐 기업체 등 큰 차질… 경찰, 운송방해 등 불법행위 점검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 포항지부가 24일 총파업에 들어가면서 포항·구미 등을 중심으로 한 산업단지 물류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포항지부는 이날 오전 포항철강산업단지 안에서 파업 출정식을 통해 안전운임제 지속추진과 안전운임제 적용 품목을 컨테이너와 시멘트 외에 철강재, 자동차 등 전 품목으로 확대돼야 한다고 요구하며 공단 주요 길목에서 분산 집회를 했다. 안전운임제는 최소 비용보다 적은 운임을 지급하는 화주에게 과태료를 부가하는 제도로, 시멘트와 컨테이너 화물이 해당 품목으로 적용됐다. 안전운임제는 일몰제로 도입돼 올해 말 만료를 앞두고 있다.

포항지부에서는 조합원 2천여명이 파업에 참여했다.

화물연대의 총파업으로 포항철강산업단지 기업체는 제품 반입과 출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 9월 태풍 힌남노로 공장 전체가 침수되는 피해를 본 포스코 포항제철소는 현재 복구 작업이 진행 중이어서 제품 출하량은 적은 편이다.

그런 만큼 제품보다는 수해 복구에 필요한 자재나 설비 반입에 어려움이 빚어질까 우려하고 있다.

현대제철 포항공장의 경우 24일부터 하루 출하하는 8천t 물량이 전혀 나가지 못하고 있다.

다른 포항철강산업단지 기업체도 크고 작은 피해를 보고 있다.

많은 기업체는 당장은 큰 피해가 없지만, 파업이 장기화하면 물류 운송에 큰 차질이 빚어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경북도는 지역 영업용 화물차 2만9천300여대 가운데 화물연대 비중이 6.4% 정도 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화물연대의 집단운송거부뿐만 아니라 운송방해와 출입구 봉쇄 등 불법행위가 뒤따를 수도 있어 긴장하고 있다.

경북경찰청은 화물연대가 주요 사업장 및 교차로 주변에서 비조합원 차량 운송 방해, 차로 점거, 운전자 폭행, 차량 파손 등의 불법행위를 하는지 점검할 계획이며 주동자는 추적 조사를 통해 처벌할 방침이다.

또 차량을 이용한 불법행위자에 대해서는 운전면허 정지·취소 등 행정처분도 활용할 계획이다.

구미에서도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이하 화물연대) 대구경북지역본부 이날 오전 10시 구미시청 앞 도로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가졌다.

이날 대구경북지역본부 출정식에는 구미 산단과 김천, 영주, 경산 등 본부 산하 지역 조합원 약 300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안전 운임 일몰제 폐지, 안전 운임 차종·품목 확대 등을 요구하며 집회를 벌인 뒤 오후부터는 남구미IC와 구미산단 29개 업체, 김천 10여개 업체, 영주 8∼9개 업체 등으로 분산해 집회를 이어갔다.

화물연대 파업으로 육로 화물 운송이 일부 중단되면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 대규모 물류 차질이 불가피해 보인다. 화물연대 관계자는 출정식을 마친 뒤 주요 거점 업체들로 흩어져 비조합원에 대한 설득작업을 벌여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2∼3일 정도 설득작업을 벌인 뒤 주요 업체 봉쇄 등을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구미시는 화물연대 파업으로 구미산단 입주업체의 물류에 큰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보고 대응에 부심하고 있다.

지난 6월 화물연대 파업 당시에도 구미공단 일부 기업들이 생산에 차질을 빚기도 했다. 시는 이같은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구미시장을 본부장으로 상황관리, 교통 대책, 현장정비 등 7개 팀 규모의 대책본부를 구성, 상황에 따라 단계별로 대응할 방침이다.

구미시는 물류 공백에 대비해 자가용 화물차 임시허가를 신청받고 있으며, 8t 이상의 일반형 화물자동차와 견인형 특수자동차 소유주는 24∼30일(7일 단위 재연장) 유상 운송을 할 수 있도록 했다.

/김락현·구경모기자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