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에 무리를 지어 피는 꽃의 광경을 축제적 의미로 생각하는 것은 아마도 사람들의 일반적 시각일 것이다. 그러나 많은 꽃이 모여 피는 모습에서 그 꽃들이 모여서 피는 것에 목적이 있고 인간에게 요구사항이 있다고 가정한다면 어떠한 느낌이 들까? 아마도 그 광경은 오늘날의 인간을 상대로 하는 꽃들의 집회 내지는 시위라 해도 되지 않을까 싶다. 더 아름다운 꽃을 피우고 싶어 더 좋은 자연적 환경을 인간에게 요구하는 꽃들의 절박한 집회라 해도 되지 않을까 싶다. 해마다 철마다 사람들은 영문도 모르고 야단법석을 떨며 꽃 잔치를 즐긴다고 가정한다면 아마도 그곳에 모인 사람들의 낮 빛은 꽃보다 더 붉어야 함이 마땅하지 않을까 싶다. 집회라는 것은 애당초, 인간의 전유물이 아니고 나약함이 모여 강함을 이루어 내려는 여린 생명들의 소박한 지혜가 아닐까도 싶다.
언젠가 서울역 인근에서 벌어진 어느 단체의 집회 현장에서 의도치 않게 충실한 관객이 되어드린 기억이 있다. 무릎이 불편한 탓에 지하철역에 내려서 행사 현장까지 걷는 불편을 덜고 싶은 마음에 택시를 탔는데, 그 순간의 선택이 십 분이면 갈 곳을 한 시간 십 분 만에 도착하게 한 황당한 기억이다. 주말이라서 그런지 서울역 주변과 종로 주변에 조그만 공터만 있어도 각기 다른 이름의 단체들이 다투어 집회장으로 이용하고 있었다. 택시기사님의 말에 의하면, 한 단체는 집회 참가자가 6만 명이나 된다고 하였는데 그들은 여러 대의 커다란 방송 차량을 앞세우며 거리 행진을 하고 있었다. 교차로마다 수많은 경찰이 동원되어 교통 통제를 하고 있었고, 아이러니하게도 그때 느낀 경찰의 모습은 도로에서 볼모로 잡혀있는 시민은 안중에도 없고 오직 시위참가자를 위한 경찰처럼 느껴졌었다. 종로 일대가 교통지옥이 되었는데도 그들은 쩌렁쩌렁하게 확성기로 구호를 외치며 거리 행진을 하고 있었다.
시민의 불편을 볼모로 자신들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려는 행위는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집회가 아니다. 이는 마치 강력범죄 사건을 다루는 영화에서나 봄 직한 인질극과 별반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것은 민주주의 탈을 쓴 조직적 폭력이라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마도 집회와 시위로 인해 도로 한복판에서 몇 시간을 인질로 잡혀있던 사람들은 감히 그 행사 주최 측에 항의할 엄두도 못 내었을 것은 뻔한 일이고, 오히려 다수의 군중과 개인 간에 느낄 수 있는 공포심마저 느끼지 않았을까 싶다.
이제 우리나라도 집회와 시위가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아가고 있음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해서 필자는 이참에 국가에서 집회와 시위를 위한 공원이나 대규모 광장 하나쯤 조성하면 어떨까 싶다. 국제 공항을 건설하듯, 변두리 평야 어디쯤 여의도 면적 크기의 부지를 확보하여 그곳으로 국회의사당도 옮기고 대통령 집무실도 옮기고 신문사, 방송국 등 각종 언론매체도 이주시키고, 모든 집회와 시위를 그곳에서만 이뤄지도록 법령도 만들고 해서, 제발 도심 한가운데서 거리 행진을 벌이는 그런 이기적인 집회가 ‘집회문화’라는 탈을 쓰고 버젓이 거리를 활보하지 않았으면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