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대다수 대피소 위치 잘몰라 <br/>장소 문의에 공무원은 ‘동문서답’<br/>반회보·문자 등 郡 차원 홍보 필요
최근 북한의 도발로 울릉군에 공습경보가 발령 된 것은 남의 일이 아니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예천군 일부 공무원들은 대피 장소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 몰라 주민들의 대피소 문의에 동문서답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예천군에는 국민재난안전 대피소 23곳, 지진 옥외 대피소 19곳, 화학대피소 2곳 등 44곳이 설치돼 있다. 그러나 예천군민들은 공군 16전투비행단이 예천군 유천면 인근에 있어 적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상황에서 유사시 주민들이 대피소 위치를 몰라 우왕좌왕하지 않도록 군 차원의 홍보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시장로 일대에 주민들을 대상으로 대피소 위치를 아는지 물어본 결과 어디로 가야할 지 정확히 알고 있는 주민은 드물었다.
A아파트 입주민 최모(73)씨는 “만약 공습경보가 울렸다면 어디를 가야할 지 몰라 머릿 속이 새하얘졌을 것 같다”며 “북한 도발로 불안했는데 우리 아파트 지하주차장도 대피소였다는 것은 전혀 몰랐다”고 말했다.
주민 정모(71)씨는 “위급 상황 시에는 군민들이 대피소를 일일이 휴대폰 검색하기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군에서 매월 읍면리에 배포하는 반 회보와 문자 메시지를 통해 평소에 대피소 위치나 이용 방법을 잘 알려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한편 농촌지역에 노인 인구가 많이 거주하고 있는데도 일부 공무원은 “앱을 찾아 대피를 해야 한다”고 말한데 대해 지역주민들은 “공무원들은 휴대폰 사용에 능숙하지만 노인들은 그렇지 못다”며 “주민 편의 위주의 업무가 우선아니냐”고 반문했다. 예천/정안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