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백화점 본점 매각 무산… “잔금 미지급”

김재욱기자
등록일 2022-11-01 20:06 게재일 2022-11-02 4면
스크랩버튼
제이에이치비홀딩스와 계약 해지<br/>“건물·토지 새로운 매수자 찾을 것”

전국 유일 향토백화점인 대구백화점의 매매가 끝내 무산되며 원점으로 돌아갔다.

시민들은 지역과 함께 성장하며 동고동락(同苦同樂)했던 대구백화점의 매매계약 해지를 착잡한 심정으로 바라보고 있다.

1일 대구백화점은 대구 중구 동성로 본점 건물과 토지에 대한 제이에이치비홀딩스와의 매매계약을 해지한다고 공시했다.

해지 이유는 매수자 제이에이치비홀딩스가 10월 31일까지 치르기로 한 동성로 본점 매입 잔금 2천75억원을 최종 납입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난 1월 20일 대백은 대구백화점 본점 건물과 토지를 2천125억원(자산 총액 대비 약 41% 수준)에 제이에이치비홀딩스에 양도한다고 공시했다.

이에 제이에이치비홀딩스는 계약금 50억원을 지급했고, 이후 6월에 중도금을, 11월 30일까지는 잔금을 납부하기로 계약했다.

하지만 계약 이후 매수 측에서 잔금 납부계약 변경 등을 요구했으며, 이를 두고 양측의 의견이 엇갈리다 결국 10월 말까지 중도금과 잔금을 한꺼번에 치르기로 결론 냈다. 하지만, 마지막 기한까지 잔금이 지급되지 않아 최종적으로 계약이 무산됐다.

지역 부동산 업계는 이번 계약 무산과 관련해 부동산 시장이 급속도로 얼어붙은데다 금리 인상에 따른 금융비용 상승과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 부실화 우려로 금융권의 PF기피 등이 복합 작용한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대구백화점 관계자는 “새로운 매수자를 찾을 것”이라며 “매각과 관련해 앞으로의 계획은 아직 정해진 게 없다”고 밝혔다.

한편 대구백화점 본점은 영업적자를 이유로 지난해 7월 1일 휴점에 들어갔다. 1969년 12월 26일 문을 연 본점은 지하 1층, 지상 11층, 토지 면적 8천156㎡ 규모다. 휴점 당시 250개 브랜드가 입점해 있었다. 문을 연 당시 1970∼80년대 전성기를 누렸지만 1998년 IMF(국제통화기금) 위기가 닥친 이후 하향세에 접어들었다. 2000년 이후에는 롯데, 현대, 신세계 등 ‘빅3’ 백화점의 대구 진출로 수익성이 크게 악화되며 매매라는 결과로 이어졌다.

앞서 대구백화점 측은 본점 매각 이유에 대해 “금융 부채를 상환하고, 무차입 경영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